양양성당 ()

천주교
단체
강원특별자치도 양양읍 성내리(城內里)에 있는 천주교 춘천교구 소속 성당.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양양읍 성내리(城內里)에 있는 천주교 춘천교구 소속 성당.
연원 및 변천

강원특별자치도 양양 지역에 천주 신앙이 전파된 것은 1866년 이후로 계속된 병인박해(丙寅迫害) 때 충청도 지역에 거주하던 천주교 신자들이 양양의 범뱅이골(현 양양읍 화일리)이나 속초의 싸리재(현 속초시 도문동의 상도문) 등지로 이주한 데서 비롯되었다. 이후 명지골(양양군 현북면 명지리)과 화일리의 쉬일 등지에도 신앙 공동체가 형성되면서 1882년부터 1902년까지 쉬일 · 명지골 · 싸리재 등 9개 지역에 공소가 설정되었다. 이후 이 공소들은 1883년 4월에 설립된 이천 섭가지성당(현 강원특별자치도 이천군 산내면 용포리)에 속했다가 함경도의 원산 · 안변 · 내평성당에 차례로 속하게 되었다.

1921년 5월 5일 연로한 뮈텔(G. Mutel, 閔德孝 아우구스티노) 주교를 대신하여 서울대목구의 사목을 관장하던 드브레(E. Devred, 兪世竣 에밀리오) 부대목구장 주교는 양양(襄陽)성당을 설립함과 동시에 간도 조양하(朝陽河)성당에 재임하던 최문식(崔文植, 베드로) 신부를 초대 주임으로 임명하였다. 이에 최 신부는 우선 상도문리의 싸리재공소로 부임하였으며, 다음해 2월 17일에는 양양읍 서문리에 매입해 둔 가옥으로 이전한 뒤 인근 부지를 추가로 매입하고 12월 22일에 새 성당을 완공하였다(성당 주보는 「예수 성심」). 1927년에 부임한 2대 주임 유재옥(劉載玉, 프란치스코) 신부는 1936년의 수해로 서문리 성당이 침수되자 성당 신축을 계획하는 대신 이전 계획을 세우고 현재의 성내리 부지를 매입하였다.

1939년 7월에 부임한 3대 주임 이광재(李光在, 디모테오) 신부는 성내리의 새 성당 공사를 시작하여 1940년 2월 28일에 이를 완공한 뒤 봉헌식을 가졌다. 그러나 광복 이후 북한 공산 정권이 수립되면서 양양성당은 몰수되었고, 이광재 신부는 월남하지 않고 이곳저곳으로 피신해 다니면서 남하하는 사제 · 수도자와 신자들을 보살펴주다가 함경도 원산 신자들의 연락을 받고 그곳으로 가던 중 1950년 6월 24일 공산군에게 피랍되었다. 이후 그는 원산 와우동 형무소에 수감되었으며, 10월 9일 형무소 뒷산의 방공호에서 총살되었고, 양양성당은 한국전쟁 중에 소실되었다.

1952년 이후 양양성당은 속초 동명동(東明洞)성당의 초대 주임인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M. S. S. C.)의 맥고완(P. McGowan, 元 파트리치오) 신부 관할이 되었다. 이때 맥고완 신부는 현재의 양양성당 신축 공사를 시작하여 1954년에 완공하였고, 그 결과 같은 해 11월에는 설리반(T. Sullivan, 서 토마스) 신부가 양양성당의 4대 주임으로 부임하여 11월 30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를 주보로 성당 봉헌식을 가졌다. 이후 양양성당에서는 1983년 10월 1일 성당 내에 이광재 신부 기념관 및 기념각을 건립하였고, 1988년에는 수녀원을 신축했으며, 1995년에는 성당을 증축하였다. 또 1998년 3월에는 디모테오 어린이집을 개원하고, 2009년 6월 9일에는 이광재 신부 탄생 100주년 기념상을 안치하였다.

현황

역대 본당 신부 가운데 유재옥 신부와 이광재 신부는 현재 한국 천주교의 ‘하느님의 종’으로 선정되어 시복이 추진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가톨릭대사전』9(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교회사연구소, 2005)
『양양본당 80년사』(양양본당 80년사 편찬위원회 편, 천주교 춘천교구 양양교회, 2001)
『주문진본당 75년사』(천주교 주문진성당 75년사 편집실, 천주교 춘천교구 주문진성당, 1998)
집필자
차기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