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개정자관애 ()

건축
유적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 양수향 외차구촌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요새. 산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 양수향 외차구촌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요새. 산성.
개설

집안시 소재지에서 서남쪽으로 65㎞ 정도 떨어진 양수향(凉水鄕) 외차구촌(外岔溝村) 서쪽의 칠개정자산(七個頂子山)에 있다. 1983년에 집안현 문물조사대가 칠개정사산에 형성된 협곡의 남쪽 끝부분에서 발견하였다.

내용

관애는 남쪽으로 압록강 북쪽 강변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고마령(古馬嶺)에 접해 있는데, 남북 0.30.6㎞, 동서 1.5㎞ 길이의 협곡을 가로질러 돌로 쌓은 모습이다. 곧 자연석을 거칠게 다듬어 쌓았는데, 계곡을 중심으로 동쪽 벽과 서쪽 벽으로 나뉜다. 동쪽 벽은 길이 60m로, 끊어진 서쪽 끝부분을 제외하고 보존 상태가 양호한 4043m 구간은 기초 부분의 너비가 911m이고, 최고 높이는 2.4m인데, 그 가운데 10m 정도는 수평을 이루고 있다. 동쪽 벽의 남쪽 8m 지점에는 길이 20m, 너비 3.5m, 잔존 높이 11.2m의 부벽(副壁)이 남아 있는데 참호(塹壕)로 추정된다. 서쪽 벽은 길이가 7075m이고, 수평 길이는 약 50m이며, 기초 부분의 너비는 8.510m이며, 잔존 높이는 0.6~2.2m이다. 한편 서쪽 벽의 동쪽 끝부분 안쪽에는 길이 15m, 너비 4.5m의 옹성(甕城)이 있다.

특징

이 관애의 축조 방법은 관마산성(關馬山城)과 매우 비슷하며, 특히 부벽이나 참호를 사용한 것도 거의 똑같아서, 문헌에 기록된 고구려의 ‘축단위성(築斷爲城)’의 형식과 부합된다. 성벽 남쪽의 평지에는 적석묘가 분포하는데, 이로 보아 고구려의 군사시설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이 관애가 자리한 외차구는 혼강(渾江) 하구의 왼쪽에 위치하였으므로, 수로를 이용하여 발해만이나 서해로 진출할 수 있는 수로 교통의 요지이다. 이 관애는 고구려의 수로 교통로를 통제하던 군사 방어시설 가운데 하나로 보인다.

참고문헌

『고구려성』Ⅰ─압록강 중상류편─(여호규, 국방군사연구소, 1998)
『中國文物地圖集』─吉林分冊─(國家文物局, 中國地圖出版社, 1992)
『集安縣文物志』(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동북아역사넷(www.contents.nahf.or.kr)
디지털고구려박물관(www.mgoguryeo.com)
집필자
백종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