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전 ()

고대사
문헌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최치원이 승려 의상의 일대기를 서술한 전기.
이칭
이칭
부석존자전(浮石尊者傳)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최치원이 승려 의상의 일대기를 서술한 전기.
개설

『부석존자전(浮石尊者傳)』이라고도 하는데, 현재 전하지 않아서 찬술 시기 및 구성과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최치원이 찬술한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자료에 남아 있는 기록들을 바탕으로 추론하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의상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三國史記)』·『삼국유사(三國遺事)』·『송고승전(宋高僧傳)』·『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을 비롯하여 최치원의 『법장화상전『』과 「해동화엄초조기신원문(海東華嚴初祖忌辰願文)」, 균여(均如)의 「일승법계도원통기(一乘法界圖圓通記)」, 체원(體元)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白花道場發願文略解)」, 박인량(朴寅亮)의 「해동화엄시조부석존자찬(海東華嚴始祖浮石尊者讚)」 등 몇 가지 자료에 남아 있다. 이 중에서 『삼국유사』, 『해동고승전』, 균여의 「일승법계도원통기」, 체원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 등이 최치원이 찬술한 『의상전』을 인용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의상에 대한 전기는 ‘최후본전(崔侯本傳)’·‘본전(本傳)’·‘최공치원소술본전(崔公致遠所述本傳)’·‘최치원소술전(崔致遠所述傳)’·‘최치원소찬의상전(崔致遠所撰義湘傳)’·‘안차록의상전운(按此錄義湘傳云)’·‘상전(湘傳) 등으로도 불려졌다.

『의상전』이 찬술된 시기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석순응전(釋順應傳)』과 『석이정전(釋利貞傳)』, 그리고 『법장화상전』이 찬술되었던 901년(효공왕 5)~904년(효공왕 8) 사이인 것으로 추정된다.

서지적 사항

최치원은 『의상전』 즉 『부석존자전』 뿐만 아니라 『법장화상전』을 찬술하였기 때문에 양자는 대체로 유사한 체제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의상전』의 체제는 『법장화상전』과 마찬가지로 취의부(趣意部)·행적부(行蹟部)·결말부(結末部)로 구분되어 10문(門)의 형식으로 구성되었을 것이다.

내용

『의상전』의 내용은 의상의 출생, 출가, 1차 입당(入唐)과 2차 입당, 지엄(智儼)에게 수학, 법장(法藏)과 동학, 귀국, 입적, 제자와 10찰(刹) 등이 수록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귀국, 낙산사(洛山寺)와 부석사(浮石寺)의 창건, 토지·노비의 거절, 십찰전교(十刹傳敎) 등의 내용이 특기되었고, 국왕 및 왕실과의 관계, 전법(傳法)과 관련된 내용이 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선묘설화(善妙說話)와 관련된 입당과 부석사 창건의 연기설화(緣起說話), 김흠순(金欽純)의 당군(唐軍) 침입 통고와 그 소재도량(消災道場) 설행, 제자들의 일화와 이적(異蹟), 시호(諡號), 금산보개(金山寶蓋) 칭송 이야기 등은 수록되지 않았을 것이다.

의상은 신라에 화엄종(華嚴宗)을 유행시켜서 ‘해동화엄초조(海東華嚴初祖)’라고 칭송받았다. 따라서 『의상전』에는 이러한 그의 특별한 행적과 사상이 반영되었을 것이고, 특히 「법계도(法界圖)」의 찬술로 강조되었을 것이다.

의의와 평가

최치원이 『의상전』을 찬술하였던 것은 불교의 화엄사상 및 당시 신라 왕실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최치원은 885년(헌강왕 11)에 당에서 귀국한 이후 화엄결사(華嚴結社)와 관련된 여러 글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해인사(海印寺) 중창 이후에는 화엄승려의 전기를 찬술하였는데, 이것은 해인사 입산과 모형(母兄)인 현준(賢俊)의 부탁이 계기가 되었다. 그의 화엄사상에 대한 이해는 왕실 측근인 문한관(文翰官) 활동을 하면서 추구되었기 때문에 화엄승전(華嚴僧傳)의 찬술도 왕실과 관련하여 이루어졌다. 특히 최치원 집안은 경문왕계(景文王系) 왕실과 긴밀히 관계하였고, 그 자신도 진성왕과 밀접하였다. 따라서 최치원은 경문왕계 왕실의 권위를 부각하려는 의도에서 『의상전』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의 화엄승전을 찬술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송고승전(宋高僧傳)』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삼국유사 의상전교조의 구성과 분석」(김복순,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34, 2013)
「신라 말기 최치원의 승전 찬술」(곽승훈, 『불교연구』 22, 2005)
「최치원 찬 『부석존자전』의 복원 시론」(장일규, 『북악사론』 6, 1999)
「의상 전기의 제문제」(정병삼, 『한국학논집』 1, 1991)
「송고승전 소재 의상전 고 -선묘설화를 중심으로-」(김홍철, 『인문과학론집』 3, 1984)
집필자
김덕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