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강 훈민정음 ( )

언어·문자
문헌
국어학자 서병국이 훈민정음에 관해 서술하여 1975년에 간행한 학술서.
정의
국어학자 서병국이 훈민정음에 관해 서술하여 1975년에 간행한 학술서.
서지적 사항

1책, 양장본, 248(152+96)쪽, 26㎝, 1975년 경북대학교 출판부 발행.

경북대학교 국어교육학과 교수이던 여천(余泉) 서병국(徐炳國)이 지은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 및 연구서로, 권말에는 『훈민정음해례』 및 『훈민정음언해』의 영인이 붙어 있다. 저자가 다년간 연구해 온 내용과 오랫동안 담당해 온 강의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서론에서 저자 나름의 논고를 덧붙였으나 여러 학자들의 논의를 그대로 따른 것도 많음을 밝히고 있다. 이후 1978년, 1984년, 1992년 등 여러 차례에 걸쳐 학문사에서 재간행되었다.

내용

앞부분에 『훈민정음』에 대한 해제와 문자 창제의 동기, 훈민정음 기원에 대한 여러 견해들을 정리한 후 『훈민정음해례』와 『훈민정음언해』에 대한 상세한 주해를 하였다. 이후 63쪽부터는 ‘부편(附篇)’이라 하여 제자해에 대한 연구, 중국 운학이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문제,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방격규구사신경(方格規矩四神鏡)에 나타난 고대 동방의 사상, 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 훈민정음의 제작 경위, 훈민정음 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등 저자가 쓴 8편의 글을 실었다. 그 뒤에 참고 논저와 색인이 실려 있다. 권말에는 『훈민정음해례』 및 『훈민정음언해』의 영인이 붙어 있는데 『훈민정음해례』의 예의와 어지 부분은 1957년 『한글의 기원』에 실린 것과 같으나 해례 부분부터는 판심 부분이 수정된 1940년 조선어학회 영인본과 같이 되어 있다. 『훈민정음언해』의 첫 장도 서강대학교 소장 원본과 다른바, 희방사 중간본을 일부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훈민정음 주해 및 연구서의 하나로 국어학사 및 훈민정음 연구의 참고자료이다. 주해에 있어 크게 특기할 만한 것은 없으나 방격규구사신경 등을 논의한 저자의 논의는 참고할 만하다.

참고문헌

『훈민정음연구』(안병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훈민정음연구』증보판(강신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4)
「훈민정음 친제론」(이기문, 『한국문화』 13, 1992)
집필자
황선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