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 ()

목차
불교
개념
부처님의 가르침 또는 바른 진리를 뜻하는 불교용어. 백법 · 정법 · 묘법.
이칭
이칭
백법(白法), 정법(淨法), 묘법(妙法)
목차
정의
부처님의 가르침 또는 바른 진리를 뜻하는 불교용어. 백법 · 정법 · 묘법.
내용

정법은 산스크리트어로 sad-dharma, śukla-dharma, samyak-dharma, dharma· buddha-dharma, 팔리어로 saddhamma, dhamma이다. '진정한 법'을 의미하는 정법은 불교에서는 진리, 즉 부처님의 가르침을 말한다. 정법(正法)은 불전에서 때로 백법(白法), 정법(淨法), 묘법(妙法)으로 표현된다.

『대비바사론』 제183권은 여래의 정법은 세속과 승의의 법이 다르다고 한다. 세속의 정법은 명신(名身)·구신(句身)·문신(文身), 즉 경율론(經律論)을 가리키며, 승의의 정법은 성스러운 도[聖道]인 무루(無漏)의 근(根)·력(力)·각지(覺支)·도지(道支)를 말한다. 『구사론』은 부처님의 정법은 교(敎)와 증(證), 두 가지가 있다고 한다. 교의 정법이란 부처님이 설하신 경율론 삼장을 말하고, 증의 정법은 37품등의 보리분법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교의 정법은 세속정법의 체(體)이고, 증의 정법은 승의의 정법의 체가 된다.

정법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이 세상에서 행해지는 기간을 가리킬 때도 쓰인다. 정법(正法)·상법(像法)·말법(末法)이라는 3시기 중에 정법이 행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가르침[敎]과 실천[行]과 그 결과인 깨달음[證]이 바르게 갖춰져서 부처님의 가르침, 즉 정법이 완전히 행해진다. 이는 일반적으로 불멸후 500년까지라고 본다.

참고문헌

『잡아함경(雜阿含經)』 제25권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제48권
『승천왕반야바라밀경(勝天王般若波羅蜜經)』 제5권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
『구사론(俱舍論)』
『대지도론(大智度論)』 제34권
집필자
심준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