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적 권능의 근거를 신에 의지하는 데 두는 유형의 무당이다. 대체로 중부 이북지방의 무당이 이 유형에 속하며, 남부지방의 무당은 세습무(世襲巫) 유형에 속한다.
신병은 무병(巫病)이라고 하는데, 환상과 환영·질병 등 일정한 정신적·육체적 증세를 통해서 일어나는 종교적 체험이며, 이것을 신에 의한 무업(巫業)에의 소명 지시라고 해석하여 무당으로서 사회적 인정을 받기 위한 내림굿을 치르게 된다. 그러나 무병과 비슷한 현상이라 할지라도 무당이 되기 위한 하나의 절차 내지 전제로서 일어난 것이 아니면 무병이라고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단 무당이 된 사람이 무업을 중지했을 때 겪게 되는 비슷한 증세의 병은 신벌(神罰)이지 무병은 아니다. 또한, 무당이 아닌 일반인이 굿에서 대를 잡거나 무감을 설 때 심한 흥분상태에 이르고 몰아경의 체험과 신비적인 현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사람 자신에게 신이 내렸다거나 무병에 걸린 것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특수한 과정을 조건으로 해서 성립된 강신무는 굿을 하는 데 있어서도 세습무나 학습무(學習巫)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강신무도 굿을 집전하기 위해서는 무가(巫歌)를 비롯한 제반 사항을 학습해야 하지만, 강신무가 가지는 권능은 빙신(憑神 : 신지핌)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업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강신무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 굿을 할 때 신의 뜻을 전하는 공수를 한다. 공수는 신이 무당의 입을 빌려 말을 하는 형식을 취하기도 하고, 무당과 신이 서로 대화하는 형식을 취하기도 하는데, 신어(神語)를 직접 전하는 것이지 신의 뜻을 해석하는 것이 아니다. 신의 말을 대신 하는 것은 강신무의 기본요건이기 때문에 내림굿에서 처음으로 공수하는 것을 ‘말문 연다.’고 하고, 말문이 열려야 비로소 무당이 될 수 있다고 여긴다.
둘째, 신을 모시는 신단(神壇)이나 신당을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굿을 할 때가 아니더라도 신을 불러 점을 치는 등 신과 빈번히 교섭을 한다. 셋째, 주로 굿을 통하여 무업에 종사하는 이유를 일차적으로 신을 모시고 즐겁게 해주려는 봉사에서 찾는다는 점이다. 생업상의 이유는 부차적이며, 항상 신을 모시는 일을 게을리해서는 안 되고 그렇지 못하면 신벌을 받아 병을 얻게 된다고 믿는다. →무당, 세습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