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머리물떼새

목차
관련 정보
검은머리물떼새
검은머리물떼새
동물
생물
국가유산
검은머리물떼새과에 속하는 새.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검은머리물떼새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분포학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82년 11월 16일 지정)
소재지
기타 전국일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검은머리물떼새과에 속하는 새.
내용

198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학명은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SWINHOE.이다.

1과 1종으로 이마와 목은 검은색이고 눈 밑에는 흰색의 작은 무늬가 있다. 윗등은 검은색이고 윗가슴에는 검은색 띠가 있는데 목의 검은 부분과 이어져 있다. 아랫등·허리·위꼬리덮깃·아랫가슴·배·옆구리·아래꼬리덮깃은 흰색이다. 꼬리는 흰색이고 전반부에는 검은색의 폭넓은 띠가 있다. 부리는 쥐색이며 끝은 검은색을 띤다. 겨울에는 멱에 흰색의 굵은 띠가 나타난다.

대단히 드문 새로, 번식상황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적은 수의 집단이 캄차카 동해안, 오호츠크해 북단의 펜진만과 우리나라 서해안의 섬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평안북도와 황해도 앞바다의 무인도에서도 번식한다고 하나, 번식집단의 크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른 새에 비하여 부리의 아래 위가 너비보다 높기 때문에 반쯤 열린 굴껍질 속으로 끌처럼 쪼아 넣어 껍질이 닫히기 전에 재빨리 꺼내 먹는다.

번식기에는 해안 앞바다 무인도서의 암초가 있는 곳, 해안의 사력지, 하구의 삼각주, 진흙, 개펄 등지에 서식하나 겨울에는 하천의 사지, 간석지 및 하구의 삼각주 등지에서 월동한다. 산란기는 4월 중순에서 5월까지이며, 한배의 산란수는 2, 3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강화도의 대송도에서 소수가 번식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1984년 12월에 금강 하구에서 850마리의 대군이 발견되어 학계에 큰 관심을 모았다. 1992년 9월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운평리 남양만 염전에서 남하중인 133마리를 관찰한 적도 있다.

현재 서해의 무인도에서 강화도를 거쳐 북한의 황해도와 평안북도 등지에 150개체 내외가 번식하리라고 추측한다. 먹이는 주로 해산 연체동물을 먹으며, 게·다모류·지렁이·곤충 및 작은 물고기 등과 해초류도 먹는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 -천연기념물편(天然記念物編) Ⅱ-(문화재관리국, 1993)
『금강하구(錦江河口)의 조류(鳥類)』(한국자연보존협회, 1984)
『한국(韓國)의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조류편(鳥類篇)-(문화재관리국, 1975)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