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간원지 ()

목차
관련 정보
고간원지
고간원지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고려후기 문신 문극겸 관련 사당.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고간원지(叩諫院址)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기념물(1984년 07월 26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추계리 567-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고려후기 문신 문극겸 관련 사당.
개설

고간원지(叩諫院址)는 고려 문신 문극겸을 모신 사당으로, 그 일대에는 고간원(叩諫院)을 비롯하여 문숙공신도비, 재실, 충숙선조유덕추모비, 사당인 충숙공영당, 그리고 묘소 등이 있다.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면 추계리에 거주하는 남평문씨 집안에서 관리하며, 1984년 7월 26일에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역사적 변천

‘고간’의 뜻은 중국 은(殷) 나라 제후 고죽군(孤竹君)의 아들 백이(伯夷)와 숙제(叔齊)가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 주왕(紂王)을 칠 때 ‘말고삐를 부여잡고 간하다[叩馬而諫]’고 한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원(院)은 원우(院宇)로서 사우(祠宇)의 뜻이다.

고려 후기 문인 이인로(李仁老)의 『보한집(補閑集)』에 따르면, 의종이 음악과 여색을 가까이하고 놀이만을 즐기므로 정언 문극겸이 소를 올려 간하였으나 의종이 듣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떠났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후 1173년(명종 3) 겨울, 공주 유구역(維鳩驛)을 수리할 때 화공이 침실 서쪽 벽에 흰옷에 삿갓을 쓴 말 탄 사람이 산길을 따라 서서히 가는 처량한 모습을 그렸다고 한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그림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알지 못하였으나, 송광사(松廣寺)의 무의자(無衣子) 혜심(慧諶)이 청주(淸州)로 가는 길에 투숙하였다가 이 그림을 보고는 ‘이것이 간신(諫臣)이 서울을 떠나가는 그림이다.’라고 하여 문극겸인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그림은 「간신거국도(諫臣去國圖)」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17세기 말까지 남아 있었다. 이는 17세기 후반에 주로 활동한 문신 임홍량(任弘亮, 1634~1707)의 문집 『폐추유고(敝帚遺稿)』에도 그 고사와 시를 남기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고간원의 건립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충숙공사실기(忠肅公事實記)』에 의하면 조선 태종의 명으로 문극겸의 묘 아래에 고간원을 세웠다고 하며, 「고간원이력(叩諫院履歷)」에서는 1792년(정조 16) 홍수로 건물이 무너지자 1851년(철종 2)에 앞면의 원판을 새롭게 새겨 유구역 누벽에 붙였다고 하였다. 그 뒤 1907년에 원우를 다시 짓기 시작하여 1914년에 완성하였고, 여기에 편액과 제현의 시문 현판들을 설치하였다.

1987년부터 1989년에 걸쳐 새로 단장하였고, 그 후로도 여러 차례 보수와 중수를 거쳐 잘 관리되고 있다.

내용

고간원지 일대에는 고간원(叩諫院)이라는 현판이 있는 건물이 있는데 단칸의 맞배집이다. 이밖에 최근에 건립된 문숙공 신도비(文肅公神道碑), 태선문(泰先門)이라는 현판이 달린 재실, 충숙선조유덕추모비(忠肅先祖遺德追慕碑), 사당인 충숙공영당 등과 묘소가 있다.

이곳은 문극겸(文克謙, 1122~1189)의 향사원(享祀院)으로써 영정을 봉안한 영당이며, 명호를 원(院)으로 한 것은 당시 문극겸의 옛집 이름을 사용하였기 때문인 듯하다. 문극겸의 자(字)는 덕병(德柄),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문극겸은 문과 급제 후 좌정언에 제수되었을 때, 권력을 자행하던 환관 백선연(白善淵)과 탐독을 일삼던 역술인 영위(榮僞) 등을 탄핵하다가 도리어 황주판관으로 좌천되었고, 뒤에 전중내급사로 승진되기도 하였다.

정중부의 난 때는 앞서 행한 직언 덕분으로 화를 면했다. 명종 즉위 후 이의방의 추천으로 우승선·어사중승이 되어서 많은 문신을 화에서 구하고 무신들에게는 고사의 자문에 응했다.

이어 용호대장군을 겸임하였고, 재상이 된 뒤에는 상장군을 겸하여 무신정권기에 문신으로 문무직을 겸임한 인사로 글씨에도 뛰어났다. 명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보한집(補閑集)』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폐추유고(敝帚遺稿)』
『충숙공실기』(文樸, 1929)
『공주세거 남평문씨 충숙공 문극겸의 사적』(우리조상뿌리찾기 편찬위원회, 2009)
『충남지역 누정문학 연구』(허경진, 한국문학도서관, 2008)
『문화재대관』(충청남도, 1996)
『공주군지』(공주군, 1988)
「고려 무인정권기 문신 문극겸의 정치활동」(이인,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무신정권과 문극겸」(신수정, 『실학사상연구』10·11, 1999)
문화재청(www.cha.go.kr)
향토문화대전(nonsan.grandculture.net)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