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종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행첨지중추부사, 지경연사,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정보(正甫)
시호
안장(安長)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04년(태종 4)
사망 연도
1477년(성종 8)
본관
평해(平海)
주요 관직
행첨지중추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행첨지중추부사, 지경연사,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정보(正甫). 증조는 고려 때의 판서 구천우(丘天雨)로, 할아버지는 구춘호(丘春浩), 아버지는 증 우찬성 구양선(丘揚善), 어머니는 공성길(孔成吉)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44년(세종 26)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정과로 급제하고 성균관학유(成均館學儒)에 제수되었다.

1447년 영동현감, 1455년(단종 3) 좌헌납, 1456년(세조 2) 1월 조봉대부(朝奉大夫) 행좌헌납, 다음해 8월 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곧 낙안군수(樂安郡守)로 파견되었다가, 성균관사성으로 입조했으며 1462년 다시 고성군수로 나갔다.

1465년 10월 성균관직강으로 있을 때 세조와의 역리강론(易理講論)으로 인정을 받고 첨지중추부사 겸 사성에 발탁되었다. 이후 친강(親講) 때마다 역리를 논하는 영광을 입었다. 1466년 6월 공조참판에서 수 공조판서로 승진하였으며, 8월 등준시(登俊試)에 급제하고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올랐다.

1467년 행호군(行護軍)으로서 새로이 제정한 형전(刑典)을 교정하고, 이어서 행첨지중추부사, 행지중추부사를 거쳐 1469년에 성종이 즉위하자 행첨지중추부사 겸 지경연사가 되었다. 1471년(성종 2) 경연 때의 언사로 대간의 탄핵을 받고 경연직을 박탈당하면서 행상호군, 이듬해 나이 70을 이유로 치사(致仕)를 청했으나 허락받지 못했으며, 벼슬이 좌찬성에까지 이르렀다.

문장이 뛰어나고 역학과 경학에 밝았다. 일화로서 문과에 오른 뒤 교서관정자(校書館正字)로 있을 때, 하루는 숙직을 하다가 경회루의 경치가 매우 좋다는 말을 듣고 평상복으로 경회루 연못가를 산책했다. 때마침 세종이 내시 몇 사람을 거느리고 경회루에 나타나자 황급히 왕 앞에 엎드렸다.

그러자 세종은 구종직의 신분과 밤중에 경회루에 나와 있는 까닭을 묻고는 "경전을 외울 줄 아느냐?"고 물으므로, 『춘추』 한 권을 줄줄 암송했다. 이에 세종은 크게 감탄하고, 이튿날 교서관부교리에 임명, 9품직인 정자에서 하루 아침에 종5품직인 홍문관부교리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시호는 안장(安長)이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대동기문(大東奇聞)』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