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 )

목차
관련 정보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후면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후면
건축
유적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깃대기둥. 당간지주.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金堤 金山寺 幢竿支柱)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28-3번지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깃대기둥. 당간지주.
내용

높이 3.55m. 두 개의 지주가 남북으로 마주보고 있으며, 당간을 받쳤던 간대(竿臺)와 지주를 놓은 받침돌 등은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

긴 네모난 모습의 받침은 1층으로 구성되었는데, 길고 큰 장대석(長大石) 6장을 바닥돌로 놓고 그 위에 2장의 돌로 짠 받침돌을 둔 모습이다. 길고 네모난 옆면에는 면 마다 테두리를 따라 윤곽을 마련하였는데, 위아래에 굽이 있다. 모서리에는 모서리기둥을 새겨 놓았고, 가운데에 기둥을 두고서 양쪽에 안상(眼象) 1구씩을 오목새김하였는데, 앞뒷면은 길고 옆면은 짧은 모습이어서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받침 윗면은 각 변의 모서리를 죽였고, 가운데 부분에는 둥근 간대를 조각하여 당간을 받치게 하였다. 간대 주변에는 4분원(四分圓)으로 테두리를 조각하고 각형 받침을 새겼을 뿐, 별다른 조각은 없다.

서로 마주보는 두 지주의 안쪽면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지만, 바깥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세로띠를 돋을새김하였는데, 그 가운데 부분에 또 하나의 세로띠를 장식하였다. 옆면에도 똑같이 테두리를 따라 세로띠를 돋을새김하였다. 정상 부분은 안쪽면 꼭대기에서 바깥면으로 내려오면서 반원형의 선을 그리며 깎였고, 1단의 얕은 굴곡을 두었다. 당간을 고정시키는 간(杆)은 지주의 위아래는 물론 가운데 3군데에 간구(杆溝)와 간공(杆孔)을 마련하여 장치하였는데, 윗부분에는 긴 네모난 간구를 마련하였고, 가운데 부분에는 네모난 구멍을 두었으며, 아래부분에는 둥근 구멍을 파서 간을 설치하였다. 3군데에 간구와 간공을 설치한 것은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보물, 1963년 지정)과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보물, 1963년 지정)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이 당간지주의 짜임새있는 받침 부분과 바깥쪽 3면의 조각 등 각 부분의 수법은 우리나라에서 두드러지게 발달한 당간지주 가운데서도 가장 완성된 모습을 갖추었다. 대체로 통일신라의 전성기인 8세기 후반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당간과 당간지주』(엄기표, 학연문화사, 2004)
『국보』7 석조(정영호 편, 예경산업사, 1984)
「한국의 당간과 당간지주」(정영호,『고미술』1991년 봄호, 한국고미술협회, 199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