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축명 아미타불비상 ( )

목차
관련 정보
기축명아미타불비상
기축명아미타불비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기축명아미타불비상(己丑銘阿彌陀佛碑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명암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다방리 비암사(碑巖寺)에 소장되어 있던 3점의 비상 가운데 하나이다. 주형 광배형(舟形光背形)의 이 석상은 앞면에만 조각이 있으며, 위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곡면을 이룬 뒷면에는 4행의 명문이 적혀 있다. 조각은 마치 『아미타경』에 보이는 극락세계의 장면을 그대로 도해한 듯하다.

내용

본존불은 유난히 큰 원형의 머리광배를 배경으로 결가부좌(結跏趺坐)하고 있다. 법의는 통견(通肩)이며 오른손은 불분명하나 왼손은 가슴 아래에 들고 있어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의 통인(通印)으로 보인다. 상체의 굵직한 U자형 골 주름은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국보, 1962년 지정)의 본존불과 같은 형식을 보여준다.

본존상 좌우의 보살상은 긴 몸에 알맞은 신체 비례를 보여주며 보관과 장엄구가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본존과 보살상 뒤에는 상체만을 내밀고 있는 승려상을 표현하였다. 보살상의 옆에는 본존을 향해 천궁(天宮)을 받들고 있는 신상(神像)을 조각하였으며, 다시 그 옆에는 앞을 바라보는 금강역사상을 배치하였다.

불보살상의 윗면에는 연꽃 위에 결가부좌한 5구의 화불(化佛)을 새기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화불보다 큰 좌상 7구를 배치하였다. 이 소불상 사이에는 보주(寶珠)와 영락(瓔珞)이 뒤덮인 나뭇가지와 잎을 표현하여 극락세계의 장엄함을 더하고 있다.

하단에는 단판(單瓣: 홑잎)의 연꽃을 돌려 석상 전체의 대석(臺石)으로 삼았으며, 그 위에는 卍자무늬의 난간과 입체감을 살린 보계(步階)를 새겨 놓았다. 난간 위에는 파상문(波狀文)으로 물결을 표현한 연못이 있고, 난간 좌우에 불법을 지키는 사자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였다. 보계 좌우에는 연꽃 위에 합장한 인물상을 대칭으로 배열하여 『아미타경』에 보이는 연화화생(蓮花化生)의 장면을 표현하였다.

연못 중앙에는 큼직한 연꽃이 솟아 있고, 여기서 피어오른 갈래진 꽃술 중앙에는 본존불이 앉아 있으며, 그 좌우에는 직립한 여러 군상이 배치되었다. 상들은 엄격한 좌우대칭적인 배치법을 따르고 있으나, 자세는 자유롭고 율동적이다.

뒷면에는, “己丑年二月十五日 此爲七世父母及□□子□都□ 阿彌陀佛及諸佛菩薩像 敬造(기축년2월15일차위7세부모급□□자□도□아미타불급제불보살상 경조)”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명문 중의 기축년은 신문왕 9년(689)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이 석상은 삼국시대의 보수적인 요소와 새로이 유입되는 당나라 불상 양식의 요소가 서로 혼합되어 나타나는 통일신라 초기 불상 양식의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또한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과 같이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삼고 있어, 당시의 신앙의 흐름을 알 수 있는 자료로서도 귀중한 예이다.

참고문헌

『국보』4 석불(황수영 편, 예경산업사, 1985)
「7世紀 燕岐地域 阿彌陀佛像의 西方淨土圖像 硏究」(홍련희, 『불교미술사학』 11, 불교미술사학회, 2011)
「통일신라시대 전기의 불상조각 양식」(김리나,『고고미술』154·155, 한국미술사학회, 1982)
「충남연기석상조사」(황수영,『한국불상의 연구』, 삼화출판사, 1973)
「비암사소장의 신라재명석상」(황수영,『고고미술』4, 한국미술사학회, 196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