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자수 ()

경기도 광주 김자수 선생 묘 정면
경기도 광주 김자수 선생 묘 정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판전교시사, 충청도관찰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순중(純仲)
상촌(桑村)
이칭
김자수(金子粹)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413년(태종 13)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경상북도 안동시
주요 관직
판전교시사|충청도관찰사|형조판서
정의
고려 후기에, 판전교시사, 충청도관찰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초명은 김자수(金子粹).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순중(純仲), 호는 상촌(桑村). 아버지는 통례문부사(通禮門副使) 지제고(知制誥)를 지낸 김오(金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74년(공민왕 23) 문과에 급제하여 덕녕부주부(德寧府注簿)에 제수되었다.

우왕 초에 정언이 되었는데, 왜구 토벌의 공으로 포상받은 경상도도순문사 조민수(曺敏修)의 사은편지에 대하여 회답하는 교서를 지으라는 왕명을 받았으나, 김자수가 전날 김해·대구에서 있었던 왜구와의 전투에서 비겁하게 도망하여 많은 사졸을 죽게 한 사실을 들어 거절한 죄로 전라도 돌산(突山)에 유배되었다.

뒤에 전교부령(典校部令)을 거쳐 판사재시사(判司宰寺事)가 되고, 공양왕 때에 이르러 대사성·세자좌보덕(世子左輔德)이 되었다.

이 때에 왕대비에 대하여 효성을 다할 것, 왕세자의 봉숭례(封崇禮)를 서두르지 말 것, 사전(祀典)에 기재된 바를 제외하고는 일체의 음사(淫祀)는 금지하고 모든 무당의 궁중 출입을 엄단할 것, 천변이 자주 일어나는 것은 숭불로 인한 것이니 연복사탑(演福寺塔)의 중수공사를 중지할 것, 언관의 신분을 보장할 것 등의 상소를 올렸다.

1392년에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가 되어 좌상시에 전보되자, 중국 조정에 파견하는 환관들에게 관직을 남발하는 것과 재정 운영에 관한 상소를 하였다. 이후 충청도관찰사·형조판서에 이르렀다. 이숭인(李崇仁)·정몽주(鄭夢周)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문장이 뛰어나 김자수의 시문이 『동문선(東文選)』에 실려 있다.

조선 건국 이후 1397년 청주목사를 지내면서, 흉년으로 인해 보리에 대한 세금을 감면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후 태종이 즉위한 후에 좌산기 상시(左散騎常侍)를 거쳐, 충청도 도관찰사, 판강릉대도호부사(判江陵大都護府事)를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문선(東文選)』
『기우집(騎牛集)』
집필자
임영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