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공일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창의군 의진에서 종사관으로 활동한 의병장.
이칭
이칭
노승용(盧昇容)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2년(고종 19)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경상남도 창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때, 창의군 의진에서 종사관으로 활동한 의병장.
개설

일명 노승용(盧昇容). 경상남도 창녕 출신. 노응규(盧應奎)의 족손(族孫)이며 제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노응규와 함께 최익현(崔益鉉)의 휘하로 들어가서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최익현이 태인을 지나 순창에서 활약하던 중 붙잡히자, 노응규와 함께 피신하였다.

1906년 가을 충청·경상·전라 3도의 분기점이며 요새이기도 한 황간군(黃澗郡: 지금의 永同郡) 상촌면 직평(稷坪: 피뜰) 마을로 들어가, 동지들을 규합하여 창의군(倡義軍) 의진(義陣)을 편성하였다.

대장에 노응규, 중군장에 서은구(徐殷九), 선봉장에 엄해윤(嚴海潤), 종사관에 노공일이 추대되었다. 이들은 무기를 제조하고 군사를 모아 다가올 전투를 위해 맹훈련을 하면서, 일부 의병을 시켜 경부철도 등의 군용시설을 파괴하고 일본군의 척후병을 섬멸하게 하였다.

그러나 1907년 1월 21일 충청북도경무서 황간군 분파소 순검들의 계략에 빠져 지도층 인사들이 잡히자, 이 창의군은 해체되었다.

노공일은 자신들이 제조한 화약을 이유(李有)에게 전달하러 가던 중 붙잡혔다. 이들은 한성경무서에 이송되어 옥중투쟁을 벌이다가, 노응규는 옥사하고, 노공일은 1907년 5월 18일 평리원(平理院)에서 서은구·엄해윤 등과 함께 7년 유형을 언도받았다.

이들 세명은 7월 백령도로 유배되었다가, 경술국치의 비보를 듣고 탈출하였다. 승복을 입고 전국을 유랑하며 망국의 한을 달래었으나, 언제 어디서 사망하였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황성신문(皇城新聞)』
집필자
박성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