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

목차
관련 정보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좌측면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좌측면
서예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승려 광자대사 윤다의 탑비. 보물.
목차
정의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승려 광자대사 윤다의 탑비. 보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950년(광종 1)에 세워졌다. 1832년 청나라 고증학자 유희해(劉喜海)가 우리나라 금석물을 모아 편집한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의 기록에는 이 탑 비신(碑身)의 높이 5.2척, 너비 3척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비신이 깨져 오른쪽 상부와 하부가 결실된 잔편이 귀부(龜趺)와 이수(螭首) 사이에 놓여져 있으나 마멸이 심하여 판독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비문은 손소(孫紹)가 지었으며 쓴 사람은 불명이다.

비의 주인공인 광자대사는 법명이 윤다(允多)이고, 자는 법신(法信)이며, 광자는 시호이다. 비문의 내용은 그가 출가하여 법을 받고 전하는 과정, 효공왕의 측근에서의 불심에 대한 문답, 고려 태조로부터 극진한 대우를 받았던 내용 등이 실려 있다.

정간(井間)을 치고 쓴 이 비의 글씨는 왕희지(王羲之)의 행서(行書)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초서(草書)도 간간히 나타나며, 또한 결체(結體)에 있어서 약간의 무리와 과장이 여실한 김생(金生)의 독특한 필치를 닮은 글씨들도 섞여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필력이 건경(健勁)하며 아취와 신운(神韻)이 감도는 작품으로, 통일신라시대에 비하여 서예가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음을 보여주는 걸작이다.

참고문헌

『한국금석총목』(장충식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84)
『한국금석문대계』(조동원 편, 원광대학교출판국, 1979)
『朝鮮金石總覽』上(京城 : 朝鮮總督府, 1919)
집필자
선주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