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배기춤

무용
작품
경상도 지방의 야류나 오광대놀이 등에서 추는 대표적인 춤사위.
이칭
이칭
덧배기, 덧뵈기춤, 배김새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도 지방의 야류나 오광대놀이 등에서 추는 대표적인 춤사위.
개설

두가지 뜻을 지니는데, 하나는 경상도 지방의 민속춤을 일명 덧배기라고 한다. 또 하나는 경상도 민속춤의 대표적인 춤사위를 가리키는 말로 덧배기, 덧뵈기춤, 배김새춤이라고도 한다. ‘덧’의 어의 해석은 ‘거듭’, ‘겹’, ‘곱’을 뜻하고, 또는 정상적인 것으로부터 탈선이나 악화를 의미하는 ‘탈’로 풀이된다. ‘배기’의 뜻은 ‘박이다’가 박이기→백이기→백이→배기로 음운이 변하였고, ‘덧’과 함께 덧배기춤이 되어 ‘겹쳐 백이는 춤’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덧배기춤은 인간에게서 해악을 끼치는 탈난 잡것을 베어 없애버린다는 뜻을 원천적으로 품고 있으며 배김사위가 이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데, 지신(地神)을 진압하듯 크게 뛰어 땅을 내리밟는 춤동작에서 긴장감이 감도는 공격적인 박력을 볼 수 있다.

구성 및 형식

덧배기의 동작은 굿거리와 덧배기(잦은몰이)장단에서 행하는데, 동작의 구성은 달아서 맺는 대목, 배기고 어르는 대목, 푸는 대목으로 나눌 수 있다. 달아서 맺는 대목은 배기기를 하기 전에 주로 좌우활개사위나 활갯짓 뜀사위를 한다. 배기고 어르는 대목은 원박만 치는 ‘응박캥캥’ 가락에 맞춰 첫 박에 땅에 박듯이 앞다리 혹은 양다리로 무릎을 굽혀 제자리에서 정지하는 동작이다.

절도있게 고개짓을 하거나 어깨짓을 한 후 푸는 대목으로 넘어간다. 춤사위를 새롭게 시작하거나 어깨춤으로 동작을 풀어나간다. 활달하면서도 동작이 큰 허튼춤이며, 남성춤에 많이 있다. 반주는 주로 사물(꽹가리, 징, 장고, 북)로 하며, 경상도의 탈놀이인 야류(野遊)나 오광대(五廣大)놀이와 밀양백중놀이, 동래한량춤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민속(民俗)춤』(정병호, 삼성출판사, 1991)
「동래(東萊) 덧배기춤에 관한 연구」(이현주, 『춤,탈,마당,몸,미학공부집』, 민속원,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