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방무덤 (돌무덤)

목차
관련 정보
예천 백전리 석실분 측면
예천 백전리 석실분 측면
고대사
개념
지하에 묘광을 판 후 돌을 이용하여 무덤방을 만든 매장시설. 석실묘 · 석실분.
이칭
이칭
석실묘(石室墓), 석실분(石室墳)
정의
지하에 묘광을 판 후 돌을 이용하여 무덤방을 만든 매장시설. 석실묘 · 석실분.
개설

돌방무덤〔石室墓, 石室墳〕은 지하에 묘광을 판 후 돌을 이용하여 무덤방을 만든 다음, 측면에 입구를 만들어 출입시설을 마련한 무덤 유형이다. 이 묘제는 묘·장제적으로 선행 묘제와 큰 차이가 있는데, 특히 장제적으로 이전의 단장묘(單葬墓) 대신에 합장(合葬) 혹은 다장(多葬)을 전제로 하는 무덤이다. 돌방무덤의 발생은 선행 묘제의 진화에서 비롯된 것이라기보다는, 새롭게 외부에서 유입된 것이다. 이 무덤 양식은 우리나라와 중국·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사회 대부분에서 확인되는데, 특히 우리나라 삼국의 모든 영역에서 확인된 묘제이다. 3∼4세기 대에 고구려와 백제, 그리고 5세기말 혹은 6세기 무렵에 신라와 가야지역에 시간차를 두고 새롭게 등장하였다. 일반적으로 삼국이 국가체제를 정립할 즈음 주묘제로 자리 잡은 후, 전 사회의 보편적 묘제로 자리매김 되었다.

내용

돌방무덤은 무덤 내부에 이르는 출입시설이 마련된 점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이 무덤은 합장 혹은 추가장(追加葬)이 전제되어 묘실 반복사용을 위한 출입시설이 마련된 것으로, 매장부를 돌로 구축하며 입구에 이르는 묘도(墓道)와 연도(羨道)가 개설되어 있다. 다만 묘실의 위치가 지하 혹은 반지하, 지상으로 구분되고 묘실의 평면과 천장의 가구형태, 입구의 위치나 형상에 있어서 지역적·시대적 차이를 보인다. 주검을 관에 넣어 안치한다는 특징도 있다. 돌방무덤은 구조에 따라서 굴식 돌방무덤〔橫穴式 石室墳〕과 앞트기식 돌방무덤〔橫口式 石室墳〕으로 구분되는데, 앞트기식 돌방무덤은 굴식 돌방무덤의 영향에 의해 변형되어 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돌방무덤은 중국에서 발전한 굴식 벽돌무덤〔橫穴式 塼築墳〕이 한반도에 유입되어 석축의 돌방무덤으로 전환하여 정착된 무덤이다. 출입시설을 갖춘 묘제를 굴식과 앞트기식으로 구분하는데, 이 묘제는 출입시설이 없는 구덩식〔竪穴式〕과 대비될 수 있는 것이다. 중국의 묘제도 선진(先秦)시대까지 구덩식이 기본이었다. 그러다가 전한(前漢) 중기에 이르러 사회변화에 부응하여 장제가 변화해서 부부합장의 전통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로써 입구가 갖추어진 묘제, 즉 공심전을 사용한 굴식 벽돌무덤이 등장하게 되었고, 나아가 생전의 주거형상을 모방한 벽돌로 만든 다실묘(多室墓) 등이 사용되면서 굴식 묘제로의 정착이 이루어졌다.

중국에서 발생한 굴식 묘제가 한반도에 등장하는 것은 대체로 삼국시대 무렵으로, 가장 이른 지역은 서북한 지역이다. 서북한 지역에서는 1∼2세기 무렵에 벽돌무덤이 등장하였는데 이들은 점차 벽돌과 석재가 혼합된 전석 혼축분(塼石 混築墳)으로 사용되면서, 그것이 이후 돌방무덤으로 발전한 것이다. 돌방무덤은 고구려에서 가장 이르게 등장하며, 4세기 후반경에 남쪽의 백제로 유입된다. 신라에서 돌방무덤은 5세기 말경 지방사회에서 먼저 등장하나 중심지인 경주지역은 그보다 늦은 6세기 중반 경에야 등장한다. 가야지역은 대가야의 본거지인 고령에서 빨라야 6세기 중반 경에 나타난다.

고구려의 돌방무덤은 돌무지무덤〔積石塚〕에 이어 사용된 묘제로서 고구려 후기의 중심 묘제였다. 이 무덤 양식은 무덤방이 2개 이상 있는 다실묘와 감(龕) 혹은 측실(側室)이 달려 있는 감·측실묘, 그리고 단실묘(單室墓)로 구분된다. 대체로 3세기 말이나 4세기 무렵부터 사용된 고구려의 돌방무덤은 지상에 돌로 무덤방을 다실, 혹은 감·측실의 형태로 만들고 흙을 덮는 방식이 초기에는 유행하였는데, 나중에는 반지하의 묘광을 파고 돌방을 만드는 이실 혹은 단실묘가 유행하였다. 고구려의 돌방무덤 중에는 다양한 양태의 벽화가 그려진 것이 많다.

백제는 4세기 중반까지 기단식 돌무지무덤이 조성되던 환경에서 돌방무덤이 유입되어 사용되기 시작하는데, 한동안 토착 묘제와 병행하여 사용되다가 5세기 후반경에 이르면 백제 유일의 묘제로 자리매김 된다. 백제의 돌방무덤은 지하 혹은 반지하의 묘광 내에 입구가 달린 단실의 돌방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울의 가락동이나 우면동 돌방무덤은 초기형에 속한다. 그리고 웅진천도를 즈음하여 궁륭식(穹窿式)으로 정착되나 중국 벽돌무덤 묘제의 영향으로 터널식으로 전환되는가 하면 이후 백제식의 평천정 구조로 정착이 이루어진다.

신라나 가야에서 돌방무덤은 고구려나 백제보다 훨씬 후대에 등장한다. 신라는 중심지인 경주지역과 지방사회가 시기를 달리하여 확인되는데, 도읍지보다 지방사회에서 우선하여 등장한다는 특징도 있다. 돌방무덤인 황남동 151호분의 예로 보면, 신라 묘제로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墓〕과 돌방무덤의 교체가 6세기 초반경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보문리 부부총이나 통천리 와총 및 서박리 석침총 등의 사례에서 7세기 대에 이르러서야 돌방무덤으로 완전한 교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신라의 돌방무덤도 모두 지하 혹은 반지하로 묘광을 파고 돌로 무덤방을 만드는데 모두가 단실로 되어 있다. 이런 측면 이외에도, 입구의 형태나 묘실의 평면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봉분 외변에 호석(護石)을 설치하고 무덤방 내부에 관대가 횡(橫)으로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가야는 구덩식 돌덧널무덤이 크게 발전하였는데 고령 고아동에서 조사된 돌방무덤을 통해서 적어도 6세기 중반경에는 중심지에서 돌방무덤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합천의 저포리와 두락리 유적 등지에 백제의 웅진시대 돌방무덤들과 대비될 수 있는 것도 확인된다. 이는 고령 고아동 돌방무덤이 백제의 터널형 돌방무덤과 대비될 수 있어, 가야지역에서 돌방무덤의 전개는 백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고, 무덤의 구조와 형식이 백제의 돌방무덤과 비슷한 부분이 많다.

돌방무덤은 삼국이 고대국가로 정립될 즈음에 각각의 주 묘제로 정착되고 아울러 묘제적 독자성을 갖춘다. 고구려 돌방무덤은 다실묘 혹은 감·측실묘, 그리고 단실묘로 구분되면서 벽화분이 많다는 특징과 함께 무덤의 구조가 다실묘에서 단실묘로, 그리고 벽화도 생활풍속도에서 사신도로 변화되는 고유의 발전상을 갖추고 있다. 또한 백제의 돌방무덤도 단실묘라는 공통성 외에 초기의 다양한 구조와 형식은 원형천정으로 정립되고 다시 평천정인 백제식 유형으로 변화되어 독자적 묘제상을 갖춘다. 특히 백제의 초기 돌방무덤은 일본열도의 돌방무덤으로 파급되기도 한다. 이외에 신라의 돌방무덤도 묘실의 평면이나 내부의 관대시설, 그리고 외변의 호석 갖춤새에서 신라 고유의 특징을 자아낸다. 다만 가야의 돌방무덤은 늦게 수용되어 짧은 기간 동안 사용되었으므로 자체적 묘제 정립을 확인하기 어렵다.

의의와 평가

돌방무덤은 묘·장제적으로 굴식〔橫穴式〕으로 분류되는 묘제로 선행 묘제인 구덩식과는 달리 무덤 내부에 이르는 출입시설이 갖추어진 것이다. 이 묘제의 출현은 선행 묘제의 진화가 아닌 외부 문화의 영향으로 3세기 혹은 4세기 대에 고구려와 백제, 그리고 5세기말 혹은 6세기 무렵에 신라와 가야지역에 새롭게 등장하였다. 돌방무덤은 굴식 묘제로 상징되는 것으로써 중국에서 발생한 굴식 벽돌무덤 묘제가 한반도에서 굴식 돌방무덤, 앞트기식 돌방무덤으로 전환·전개되었음을 보여준다. 삼국시대에 유행한 돌방무덤의 존재는 선진문화의 수용과 소화, 그리고 독자적 전개의 단면을 보여줌과 동시에 묘제의 변천을 통해 그 당시 정치·사회의 변화상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크나큰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백제고분연구』(강인구, 일지사, 1977)
『한국고고학개설』(김원룡, 일지사, 1978)
「백제고분의 연구」(안승주, 『백제문화』 7·8합집, 197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