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호대교 ()

동호대교
동호대교
교통
지명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연결하는 다리.
이칭
이칭
금호대교
내용 요약

동호대교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1985년 자동차 통행로 20.4m에 전철 복선 너비까지 모두 폭 31.4m, 길이 1,220m의 3경간 연속트러스 교량으로 준공되었다. 건설 직후에는 금호대교로 명명하였다가 한강 교량명 정비 때 동호대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한강 이남과 한강 이북을 연결하는 교통량을 분산시켜 줌으로써 강남북의 연결을 수월하게 해 주고 있다. 2007년에 동호대교를 이용한 일일 평균 자동차 대수는 9만 2,389대이며, 2000년 이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키워드
정의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연결하는 다리.
개설

동호대교는 서울시 지하철 3호선과 공존하는 복합교량으로 장충체육관에서 압구정동과 도산대로에 이르는 동호로의 한 구간으로 서울 강남에서 강북 도심으로의 진입을 수월하게 해 주고 있다.

형성 및 변천

자동차 통행로 20.4m에 전철 복선 너비까지 모두 폭 31.4m, 길이 1,220m의 3경간 연속트러스 주1으로 1985년에 준공되었다. 건설 초기에는 닐슨아치교(nielsen arch橋)로 민자에 의해 건설하려다 연속트러스교로 변경되어 설계된 교량으로서, 건설 직후에는 금호대교로 명명하였다가 전체 한강상의 교량명 정비 때 동호대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다리는 직선적인 와렌트러스(warren 주2에, 완만하게 휘어진 주구(主構)트러스를 사용한 곡선트러스로 되어 있으며 주3주4와 마찬가지로 병용교량으로서 전차가 주행하는 부분이 트러스교이고 그 좌우에는 도로교로 구성되어 있다.

연속교에서 생기는 이음부의 큰 주5에 대비하여 주구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단면을 증가할 필요가 없고 직선트러스에 비하여 다리의 조화미가 뛰어나고 도로교와도 잘 어울린다.

상부구조에 있어서 하로판형교(下路板桁橋)는 40m의 단순보로 되었고 하부구조는 미관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독립 T형으로 설계, 시공되었으며, 하부구조는 우물통기초 22기와 직접기초 4기로 축조되었다. 또, 강남북 전철과의 접속도 고려되어 다리의 전체적인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하였다.

1994년 10월 성수대교 붕괴사고 이후 전문가의 긴급 점검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1995년 3월 15일부터 1996년 9월 30일까지 안전에 우려되는 부분을 긴급보수하였다. 또한 추가 점검 결과에 따라 다리의 수명 연장이나 기능향상을 위하여 1997년 9월 5일부터 1998년 6월 30일까지 보수공사를 실시하여 이용 시민의 안전에 이상이 없을 뿐 아니라 다리 기능도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1996년 10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규정에 따라 시설안전기술공단에서 정밀안전 진단을 실시하여 그 결과에 따라 보수공사 실시설계를 1997년 1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실시하였다.

2002년 7월부터 2003년 12월에 걸친 안전진단에서는 구조물의 안정성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진단 결과를 토대로 교량 노면이 노후한 전구간에 대하여 포장공사를 실시하였고, 거더볼트 일부를 교체하였다.

이 다리의 한강 상류쪽 1.3km에는 8차로 폭원의 성수대교가, 3.3km 지점에는 6차로 주6가 가설되어 있고, 하류쪽 1.2km 지점에 12차로 주7가 있어서 한강 북쪽의 강변북로와 한강 남쪽의 올림픽대로에서 서로 연결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다리로는 1970년대에 본격적으로 개발된 강남지역의 교통량 부하를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었으며, 특히 영동지구에서 발생하는 교통량이 도심으로 직통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된 동호대교는 한강이남과 한강이북을 연결하는 교통량을 분산시켜 줌으로써 강남북의 연결을 수월하게 해 주고 있다. 그리고 서울지하철 3호선이 동호대교를 통과함에 따라 동호대교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였다.

현황

정치 · 경제 · 문화 등 전국의 중추적 관리 기능이 서울에 집중되고, 또한 거기에 따른 인구팽창 및 교통량의 급증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상황에서, 교통량 수용 및 인구수용 정책에 맞추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강남구 양재동을 종점으로 하는 금호로의 한 부분으로서 효과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2007년에 동호대교를 이용한 일일 평균대수는 9만 2,389대이며,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서울의 다리』(서울특별시, 1988)
『금호대교·전철교(金湖大橋·電鐵橋) 건설공사(建設工事) 실시설계보고서(實施設計報告書)』(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 1981)
『금호대로건설기본계획종합보고서(金湖大路建設基本計劃綜合報告書)』(서울특별시, 1979)
서울특별시(http://www.seoul.go.kr)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http://smih.seooul.go.kr)
주석
주1

연속보의 형식처럼 세 개 이상의 받침으로 지지하는 트러스로 만든 교량. 우리말샘

주2

이웃한 격간에서 경사재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설치한 트러스. ⇒규범 표기는 ‘워런 트러스’이다. 우리말샘

주3

한강에 건설된 다리 가운데 하나.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과 용산구 이촌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1984년 12월에 준공하였다. 길이는 1,245미터. 우리말샘

주4

한강에 건설된 철도 교량 가운데 하나.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과 송파구 신천동을 연결하는 철도 교량으로, 1979년에 준공되었다. 길이는 1,235미터. 우리말샘

주5

물체가 외부 힘의 작용에 저항하여 원형을 지키려는 힘. 우리말샘

주6

한강에 건설된 다리 가운데 하나.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과 강남구 청담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1973년에 준공하였다. 길이는 850미터. 우리말샘

주7

한강에 건설된 다리 가운데 하나.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과 강남구 신사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전에는 ‘제삼 한강교’라 하였다. 구교는 1966년 1월에 착공하여 1969년 12월에 완공하였고, 신교는 1996년 12월에 착공하여 2001년 3월에 준공하였다. 길이는 구교는 917미터, 신교는 919미터.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변근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