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도일기 ()

목차
근대사
문헌
유준근이 1906년 5월 대마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면서 기록한 일기. 의병록.
목차
정의
유준근이 1906년 5월 대마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면서 기록한 일기. 의병록.
내용

필사본. 이 책은 날짜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칠언절구의 시가 168수, 오언절구가 3수로 모두 171수가 수록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그 내용은 홍주의병이 일어난 전말과 그들이 대마도로 끌려갔던 사실들이 적혀 있는데, 이칙(李侙)·안항식(安恒植)·유준근·이상두(李相斗)·신현두(申鉉斗)·최상집(崔相集)·신보균(申輔均)·남규진(南奎振)·문석환(文奭煥) 등 홍주 9의사와 최익현(崔益鉉)·임병찬(林炳瓚) 등이 지은 글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다만 사실 내용에 있어서 임병찬의 『대마도일기(對馬島日記)』와 일부 중복되는 점이 없지 않으나 대부분 시로써 엮어졌음이 특색이며, 대마도에 끌려간 그들의 우국충정을 토로한 내용들이다.

한편 9 명의 의사 외에 최익현과 임병찬이 그뒤 대마도에 압송되어 왔을 때의 사정을 적고 있는데, 일본인들이 그들에게 갓과 도포를 벗고 머리를 자르라고 할 때 그들은 한결같이 항거하고 일본인이 주는 음식도 먹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국(異國)의 풍경이 서술되어 있고, 또 적이 지사(志士)들을 대하는 태도와 지사들 자신의 솔직한 심정들이 표현되어 있으며, 폐부를 찌르는 글들이 담겨 있다. 이 책은 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한말 의병사 연구에도 중요한 문헌이라 할 수 있다. 유준근의 후손이 소장하고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