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우집 ()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무신, 곽재우의 시 · 서(書) · 소 · 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무신, 곽재우의 시 · 서(書) · 소 · 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판본. 편자와 간행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망우집(忘憂集)』(2권 1책, 초간본) 이후에 간행된 『망우당집(忘憂堂集)』(5권 3책, 중간본)의 발문을 참조해보면, 곽재우의 사후 곽재우의 아들과 사위 성이도(成以道) 및 내·외손들이 곽재우의 시문 등을 모아 『망우집』을 간행했다고 되어 있다. 현전하는 『망우집』(초간본)에 1629년(인조 7) 곽유(郭瀏)의 발문이 수록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망우집』(초간본)은 곽재우 사후인 1622년(광해군 14)에서 1629년(인조 7)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권두에 세계(世系)와 배대유(裵大維)가 지은 전(傳)이 있다. 권1에는 소(疏) 5편, 서(書) 3편, 장계(狀啓) 3편, 초사(招辭) 1편, 권2에는 소 11편, 논(論) 1편, 증서(贈書) 2편, 시 20수, 사제문·제문·만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 중의 「창의시자명소(倡義時自明疏)」는 시세(時勢)가 어려움을 당하게 되면 국가의 관리들은 분골쇄신하여 위국진충(爲國盡忠)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백성을 도탄에 빠뜨리게 한 경상감사 김수(金晬)의 죄를 8개 조항을 들어 통렬히 비난하였다.

「구영창대군소(救永昌大君疏)」에는 그가 무장(武將)으로 외직에 있을 때 신분과 처지의 어려움을 무릅쓰고 왕의 잘못을 직간(直諫)하여 영창대군을 죄 없이 죽여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 내용이다.

부록인 「용사별록(龍蛇別錄)」에는 그가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운 내력을 적고 있다. 특히, 그는 임진왜란을 중심으로 쓴 군담소설(軍談小說)의 주인공인데, 이 문집은 사실을 고증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