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재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양달교의 시 · 잡저 · 서(書) · 서술 등을 수록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양달교의 시 · 잡저 · 서(書) · 서술 등을 수록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양달교의 증손 양병하(梁炳夏)가 편집·간행한 것으로 간행 연도는 알 수 없다. 권두에 이응진(李應辰)·정상현(丁常鉉)의 서문과 권말에 양병하·이풍호(李灃鎬) 등의 발문 8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책. 목활자본.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수에 목록이 있고, 시 7수, 명(銘) 1편, 잡저 3편, 서(書) 8편, 서술(敍述) 1편, 부록으로 유증(遺贈)·행장·묘갈명·유허비(遺墟碑)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신추(新秋)」는 초가을 매미소리로 계절적 정서를 표현한 작품이다. 「제야(霽夜)」는 야경과 산중생활의 고독을 조합(調合)하여 쓸쓸한 심회를 표현한 것이다. 이 밖에 「정거(靜居)」는 한거자락(閒居自樂)의 은일적인 기분을 나타낸 것이다.

서(書)에는 예학과 성리학의 난례(難禮)·의의(疑義)를 설명한 것이 여러 편 있다. 그 가운데 「답이판서응진(答李判書應辰)」은 이응진에게 보낸 편지이다. 모친이 먼저 죽은 후 부친상을 당했을 때의 복제(服制)에 관해 설명한 내용과 『중용』에서 말하는 천명(天命)의 명(命)은 이기혼융(理氣渾融)의 개념이라고 설명한 내용이 있다.

「답외손한인석(答外孫韓麟錫)」에서는 심(心)·성(性)·정(情)을 체(體)와 용(用)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논하고 있다. 「답혹인(答或人)」에서는 『주역』의 태극이론(太極理論) 입장에서 심·성·정을 설명하고 있다.

잡저의 「가훈팔조(家訓八條)」는 사친이효(事親以孝)·형제친목(兄弟親睦)·형처이예(刑妻以禮)·상제치경(喪祭致敬)·지기이공(持己以恭)·접인이서(接人以恕)·처사이의(處事以義)·교자학문(敎子學文)의 8개 조목으로 되어 있다. 서술은 저자의 행적 또는 언행에 관해 문인들이 기록한 내용을 합록한 것으로 학문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