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안인 ()

조선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통례문지후, 예의총랑, 전법총랑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복(子復)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43년(충혜왕 복위 4)
사망 연도
1398년(태조 7)
본관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주요 관직
통례문지후|예의총랑|전법총랑
정의
고려 후기에, 통례문지후, 예의총랑, 전법총랑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자복(子復). 고려 첨의정승(僉議政丞) 민지(閔漬)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민상정(閔祥正)이고, 아버지는 증문하찬성사(贈門下贊成事) 민선(閔璿)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65년(공민왕 14) 10월 전리판서(典理判書) 한천(韓蕆) 주재하의 국자감시(國子監試)에서 1등으로 급제하였다.

1374년 문과에 급제하고 춘추관검열(春秋館檢閱)에 제수, 그 뒤 고려대를 통하여 14년간이나 관직(館職)을 띠고 제고(制誥)에 참여하였다. 1377년(우왕 3) 통례문지후(通禮門祗候)·예의총랑(禮儀摠郞)을 거쳐 전법총랑(典法摠郞)이 되었다가 권귀(權貴)의 뜻을 거슬려 파면되고, 4년 뒤 군부총랑(軍簿摠郞)으로 복직되었다.

고려 말에는 삼사의 좌윤과 우윤을 역임하였다. 1392년(태조 1) 사은사(謝恩使)인 문하시랑찬성사 우인렬(禹仁烈)의 부사가 되어 명나라를 내왕, 귀국 즉시 성균관좨주(成均館祭酒)에 제수되었다. 곧 교서감감(校書監監)을 거쳐, 평양교수(平壤敎授)로 파견되었다.

문묘(文廟)를 수리하고, 학규(學規)를 엄히 하면서 훈회(訓誨)에 전력하는 등 유학진흥과 유교의례의 보급에 공헌하였다. 1395년 한성에 태묘(太廟: 종묘)가 세워지면서 예악정비(禮樂整備)가 요청되자 전고(典故)에 밝다 하여 특별히 소환되어 국왕의 친관(親祼: 親祭)을 위한 대례(大禮)의 완비에 공헌하였다.

곧 퇴직하여 후진을 교육하면서 여러 학자들의 일고(逸稿)를 수집하여 정리하다가 완성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 성품이 근면하면서도 질직돈후(質直敦厚: 질박 정직하면서 성품이 너그러움)하였고, 고려 말에는 제고에 기여하였으며, 조선개국 초에는 유학진흥과 의례의 정비 보급에 크게 기여하였다. 권근(權近)과 교우가 깊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민안인묘지명(閔安仁墓誌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