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정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영월부사,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일여(一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48년(영조 24)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순천(順天)
주요 관직
영월부사|황해도관찰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영월부사,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일여(一如). 사육신 박팽년(朴彭年)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박성원(朴聖源)이고, 아버지는 박광주(朴光胄)이며, 어머니는 정운채(鄭運采)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음보(蔭補)로 현감을 지내다가, 1784년(정조 8) 정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부교리·영월부사(寧越府使)·승지·대사간 등을 역임하고, 1799년(정조 23) 병조참판에 이르렀다.

같은 해 진하 겸 사은사(進賀兼謝恩使)의 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이어 황해도관찰사로 나아가 태조가 말달리기를 하던 곡산(谷山)의 치마도(馳馬道) 옛터를 고증하여 많은 칭송을 듣기도 하였다. 칙수미(勅需米: 중국 칙사를 대접하기 위하여 사신이 지나는 역로에 두는 쌀)의 관리를 소홀히 하였다는 탄핵을 받아 전직 감사들과 함께 파직되었다. 한편, 1796년 왕명으로 이의준(李義駿)·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장릉지(莊陵志)』를 교정하여 『장릉사보(莊陵史補)』를 편찬하였다.

정조로부터 사육신의 후예라는 총애를 받아 영월부사와 참판 등에 특별히 제수받는 영광을 누렸다. 글씨에도 조예가 깊었는데, 장릉영천비(莊陵靈泉碑)·관풍헌중수기(觀風軒重修記)·육신사기(六臣祠記) 등의 글씨가 전한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조선도서해제(朝鮮圖書解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