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9.21m. 한 변이 8.4m에 이르는 석재로 테를 돌린 얕은 토단(土壇)을 쌓고 그 위에 2층기단과 7층탑신을 세웠다. 하층기단은 하대석(下臺石) 없이 중석(中石)과 갑석(甲石)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기단형식은 전형양식에서 벗어난 것이어서 이것이 원형인지 의심스럽다.
또, 갑석 밑에 부연(副緣 :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있는 것도 하층기단 갑석으로는 이례적이다. 하층기단의 갑석 위에는 별석으로 상층기단 굄이 넓게 마련되었는데, 상층기단의 중석과 갑석은 각각 6매 또는 4매로 구성되어 통식(通式)을 따랐으며, 갑석에는 부연이 있으나 폭이 초층 옥개석(屋蓋石)과 거의 비슷할 정도로 좁아져서 비례가 좋지 않다.
탑신부는 초층이 옥신석(屋身石)과 옥개석을 각각 3석씩으로 짜는 불규칙한 결구수법(結構手法)을 나타내고 있다. 옥신석에는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새겨졌고, 동쪽 면에는 문비형(門扉形)이 표현되었으며 옥개석 받침수는 5단이다. 특히, 옥신석은 상층기단 중석보다도 높아져서 균형을 잃고 있다.
2층 이상은 옥신석과 옥개석을 1석씩으로 하여 차례로 체감되었으며, 옥신에는 각 모서리마다 우주형이 새겨졌고, 옥개석 받침수는 4단씩으로 줄어들었다. 현재 상륜부(相輪部)에는 노반(露盤) 1석만이 남아 있다. 이 탑은 기단구성이 특이하고 각 부의 비례가 불균형한 점으로 보아 조성연대는 고려시대 전반기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