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구조제도
토지소유자가 다른 사람에게 토지를 빌려주고 경작시키는 대가로 지대(地代)를 받는 경작제도.
『한국근대토지제도사연구』(이영협,보문각,1967)
『한국토지제도사』하(천관우,『한국문화사대계』 Ⅱ,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1965)
「한국의 지주제도에 관한 일연구 상-일제하의 토지소작제도에 대하여-」(신용하,『경제논집』 5-3,1966)
「이조말기의 도지권(賭地權)과 일제하의 영소작(永小作)의 관계-소작농도지권의 소유권으로의 성장과 몰락에 대하여-」(신용하,『경제론집』 6-1,1967)
「일제하대지주의 사회적 배경과 이동」(김영모,『아세아연구』 42,1971)
「한말·일제하의 지주제-사례 1:강화 김씨가(金氏家)의 추수기(秋收記)를 통해 본 지주경영-」(김용섭,『동아문화』 11,1972)
「한말·일제하의 지주제-사례 2:재령동척농장(載寧東拓農場)에서의 지주경영-」(김용섭,『한국사연구』 8,1972)
「일제하의 지주소작관계」(최재석,『정재각박사회갑기념논총』,1973)
「해방후의 지주소작관계연구서설」(최재석,『민족문화연구』 7,1973)
「17세기의 토지개간과 지주제의 전개」(이경식,『한국사연구』 9,1973)
「식민지하 조선인대지주의 분석-1920년대를 중심으로-」(안병식,『경제논집』 14-3,1975)
「16세기 지주층의 동향」(이경식,『역사교육』 19,1976)
「한말·일제하의 지주제-사례 3:나주이씨가(羅州李氏家)의 지주에의 성장과 그 농장경영-」(김용섭,『진단학보』 42,1976)
「일제하의 조선토지조사사업에 대한 고찰」(신용하,『한국사연구』 15,1977)
「조선왕조말기의 지주제도와 소작농민층」(신용하,『최문환박사추념논문집』,1977)
「일제의 조선토지조사사업에 있어서의 ‘국유지’창출과 ‘역둔토(驛屯土)’조사」(신용하,『경제논집』 17-4,1978)
韓末·日帝下의 地主制-事例 4:古阜金氏家의 地主經營과 資本轉換-(金容燮,韓國史硏究 19,1978)
李朝初期における作制成立の歷史的條件 上·下(金鴻植,東洋史硏究 33-2,33-4,1974∼1975)
Kwajon Land Reform and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Landlordism in the Early Yi Dynasty Korea,1391∼1470(Shin,Yong-Ha,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Economic Review,Vol.4 No.1,1970)
Land Tenure System in Korea,1910∼1945(Shin,Yong-Ha,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Economic Review,Vol.5 No.1,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