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승 ()

체육
인물
해방 이후 1983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태껸 전승자로 지정된 기능보유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8년
사망 연도
1987년
본관
영월(寧越)
출생지
경기도 고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1983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태껸 전승자로 지정된 기능보유자.
개설

본관은 영월(寧越). 경기도 고양 출생. 아버지는 신우선(辛佑善)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유년 시절은 경기도 연천군 삭녕면에 있는 종조(從祖) 재영(在榮)의 슬하에서 성장했는데, 당시 종조는 삭녕면 일대의 대지주로 한량 · 재사들과 어울려 놀기를 좋아하는 호걸이었다.

특히 택견을 잘하는 사람들을 집으로 초청하여 맞서기(겨루기)를 시켜 우승자에게는 푸짐한 상을 주는 한편, 술과 고기를 나누어 먹으며 그들과 재담을 즐겼다. 이러한 종조의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택견을 배우고 호연지기를 키울 수 있었다.

그 뒤 아버지를 따라 만주로 옮겨가 이민생활을 하면서 1944년 사평(四平) 산성진국민고등학교(山城鎭國民高等學校)를 졸업하였다. 1949년 신흥대학(新興大學, 현 경희대학교) 체육과에 입학하여 1951년 수료하기까지 레슬링에 온 힘을 기울였다.

그 뒤 충주로 내려와 유도에 몰두하기도 하였으나, 1961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자 어렸을 때 보고 익혔던 택견의 원형을 정리하기로 마음먹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택견의 명인들을 찾았다. 드디어 1970년 송덕기(宋德基)를 만나 택견에 관한 기술을 전수받는 한편, 택견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정리하기 시작하였다.

1973년 10월 충주에 택견전수도장을 세우고 후진 양성에 힘쓰는 한편, 택견을 문화재로 지정하여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였다. 1981년 11월 그 동안 정리한 택견관계 자료를 문화재관리국(현, 국가유산청)에 제출하여 인멸될 위기에 있는 택견을 문화재로 지정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 결과 1983년 6월 1일 택견이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으며, 기능보유자로 지정받았는데, 이는 무술 분야의 유일한 지정유산인 셈이다. 그 뒤에도 택견의 보급과 후진 양성에 진력하여 1984년 제25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식후 공개 행사로 택견을 발표하였고, 1987년에는 택견전수생 이수자격 평가 공개발표회도 가졌다.

한편, 택견과 운동의 원리는 비슷하다고 하여 구전되고 있는 전통무예 수벽치기를 복원하려고 노력하였다. 우리의 전통문화를 뿌리로 한 선비정신인 ‘참’을 찾아야 된다고 역설한 그는, 근세 택견의 마지막 전승자이며 현대 택견 중흥의 중시조로서 택견 정립의 외길에 평생을 바친 무도인이다.

참고문헌

『택견』(송덕기, 서림문화사, 1983)
『발굴 한국현대사인물』 3(한겨레신문사, 1992)
집필자
정찬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