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m. 받침돌은 단층으로 구성되었다. 자연석처럼 보이는 2장의 길고 큰 돌이 땅 위에 있다. 이 돌은 하대석(下臺石)으로 보이는데, 윗면에는 굄이 형식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면석 역시 자연석처럼 보이는 1장의 돌로, 모서리 기둥이나 가운데 기둥을 표시하지는 않았다. 덮개돌은 2장의 돌로 이루어졌는데, 밑면에는 쇠시리인 부연(副椽)이 있고 윗면에는 굄이 있지만, 그 표현은 매우 형식적이다.
탑신부(塔身部)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았는데, 현재 1층 몸돌과 1~4층의 지붕돌만 남아 있다. 1층 몸돌에는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과 여러 조각이 새겨져 있다. 곧 3면에는 여래좌상(如來坐像)이 1구씩 배치되었지만, 나머지 1면에는 문비(門扉)가 조각되어, 사방불(四方佛)의 기본적인 모습은 갖추지 못하였다. 지붕돌은 몸돌에 비해 넓은 편으로, 처마 전체가 곡선을 그리고 있다. 밑면 받침은 4단인데, 추녀 끝에서 안쪽으로 깊숙히 들어가 새겨져 있다. 이로 인해 추녀 끝의 반전(反轉)은 특히 심해 보인다. 상륜부(相輪部)는 모두 없어졌다.
이 석탑은 받침 부분의 구조가 매우 간략하지만, 특이하게도 1층 몸돌의 3면에 여래상이 조각되어 있다. 단층의 받침돌, 지붕돌 밑면의 심한 반전, 여래상의 조각 양식 등에서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현재의 규모로 보아, 원래는 몸돌과 지붕돌을 5층으로 올렸던 것으로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