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지사 동종 ( )

목차
공예
유물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쓰네미야신사[常宮神社]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동종.
목차
정의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쓰네미야신사[常宮神社]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동종.
내용

높이 111㎝, 입지름 66㎝. 일본의 국보. 용뉴(龍鈕)는 수직으로 향하여 종정(鐘頂)에 붙이고 여의주를 입에 물고 있는 모습이다. 용통(甬筒)은 3단으로 구성되어 유좌형식(乳座形式)의 연화장식이 둘러지고 연판(蓮瓣)도 다소 형식적으로 둘러지고 있다.

상하대에는 같은 크기의 방곽(方廓)을 구획하여 그 내부에 파도무늬를 조밀하게 새겨 두른 해파문(海波文)이 장식되어 있고, 그 위아래에는 삼각형상의 무늬대가 있다. 유곽대(乳廓帶)도 역시 같은 크기의 방곽 안에 격자무늬형식으로 구성되어 보상화문(寶相花文)을 배치함으로써 연속무늬를 이루고 있다.

유곽 안에는 9개의 유두(乳頭)가 연화좌(蓮花座) 위에 연봉형으로 표현되었다. 종신 하단에는 2개의 당좌(撞座)와 2구의 비천상(飛天像)이 유곽과 엇갈리게 배치되고 있다. 당좌는 자방(子房) 중심에 성광상(星光狀)의 8판중엽화문을 배치하고 그 화문 둘레에 8개의 연자(蓮子)를 표현하였다.

그 둘레에는 역시 끝이 뾰족한 모양의 8엽중판연화가 형성되었다. 비천상은 신라종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유려하게 조식되었는데 보화형(寶花形) 구름 위에 천의자락을 날리며 무릎을 꿇고 주악하는 모습이다.

명문은 유곽 사이의 상대에 가깝게 가로 15.6㎝, 세로 8.3㎝의 자리를 설치하여서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그 내용으로 보아 833년(흥덕왕 8)에 제작된 종임을 알 수 있으나 연지사의 소재지는 미상이다. 이 종은 일본에 전해진 종 가운데 가장 오래된 범종이다.

참고문헌

『한국종연구(韓國鐘硏究)』(염영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日本所在の韓國梵鐘』(崔應天, 奈良國立博物館, 1993)
『朝鮮鐘』(坪井良平, 角川書店, 1974)
집필자
임영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