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향교 ()

목차
관련 정보
영암향교 정측면
영암향교 정측면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문화재자료.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3601260000
지정기관
전라남도
명칭
영암향교
원어
靈岩鄕校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제126호
지정일
1985년 02월 25일
소재지
전남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 256번지
경도
126.693226171674
위도
34.7969546190358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3601260000
해제여부
N
목차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문화재자료.
내용

1420년(세종 2)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을묘왜변 때 왜구의 침입으로 소실되고 1603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739년에 문묘를 중수하고 1874년에 향교를 중수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보통학교 임시교사로 사용하다가 1918년 화재로 전소되었다. 1922년 명륜당을 중건하나 6·25전쟁 때 전소되고 1951년 대성전, 1963년 양사재, 1969년 명륜당, 1971년 외삼문, 1976년 내삼문, 1986년 전사청 등을 중건·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동무(東廡)·서무(西廡)·명륜당·양사재·사마재(司馬齋)·청금당(靑衿堂) 등이 있다. 건축형태는 동서일렬로 좌학우묘(左學右廟)의 배치이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 맞배지붕이고, 명륜당은 정면 4칸, 측면 3칸, 팔작지붕이다. 외삼문 밖으로 홍살문과 하마비가 있고, 외삼문 밖 좌우에 비석 11기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한다.

1985년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으며,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태학지(太學志)』
『영암향교지(靈巖鄕校誌)』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전라남도지(全羅南道誌)』(전라남도지편찬위원회, 1969)
집필자
김호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