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휴천동 마애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영주 휴천동 마애여래좌상 정면
영주 휴천동 마애여래좌상 정면
조각
유적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고려시대 높이 0.78m의 마애불. 2006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고려시대 높이 0.78m의 마애불. 2006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내용

영주 휴천동 마애여래좌상은 경북전문대학교 정문에서 서쪽으로 약 150m 정도 떨어진 야산에 있다. 불상이 새겨진 바위에서 조금 떨어진 암반에는 ‘관수대(觀水臺)’라는 각자가 새겨져 있다. 마애여래좌상이 조각된 바위는 3.5m 높이의 자연 석괴(石塊)이며 이 암반 상부에 영주 휴천동 마애여래좌상이 조각되어 있다. 마애여래좌상이 새겨진 바위 앞에 서면 북쪽 방향으로 낙동강의 지류인 서천이 흐르는데, 그 건너편 약 400m 지점에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이 보인다.

영주 휴천동 마애여래좌상은 자연 암반 위에 선각으로 조성한 마애불이다. 마애여래좌상의 머리 부분은 깊이 파내어 마치 광배를 형상화한 것 같다. 하체 부분은 선이 굵은 음각선으로 불상의 신체를 조각하였다. 휴천동 마애여래좌상의 머리는 머리카락 표현이 없는 소발(素髮) 형태이다. 머리 위에는 육계가 얕게 조각되어 있으나 마모가 심하게 진행되어 육계의 흔적을 거의 찾을 수 없다. 때문에 참배자의 자리에 서면 불상의 육계가 확인되지 않아서 마치 민머리를 한 나한처럼 보인다. 눈은 작게 표현되었으며 코는 상대적으로 길게 조각되었다. 귀는 뺨 부근까지 흘러내리고 있어 비교적 작게 만들어졌다. 목에는 마모가 진행되어 있어 삼도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왼손은 손바닥을 밖으로 한 채 왼쪽 가슴에 대고 있다. 오른손은 결가부좌한 다리 위에 올려놓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다. 마애여래좌상이 착용하고 있는 법의는 양쪽 어깨를 모두 덮는 통견 형태의 대의(大依)이다. 옷 주름은 양쪽 팔과 결가부좌한 다리에 굵은 음각선으로 단순하게 표현하였다.

영주 휴천동 마애여래좌상은 조각 솜씨가 뛰어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소박한 분위기를 엿볼 수 있게 해주고 있는데, 지방 양식을 잘 표현한 고려시대의 작품이다.

참고문헌

「영주휴천리마애석불 (진홍섭, 『고고미술』 21, 한국미술사학회, 196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성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