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금치전투 ()

공주 우금치 전적 동학혁명군위령탑
공주 우금치 전적 동학혁명군위령탑
근대사
사건
1894년 11월 동학농민군이 공주의 우금치에서 관군 및 일본군과 치른 전투.
내용 요약

우금치전투는 1894년 11월 동학농민군이 공주의 우금치에서 관군 및 일본군과 치른 전투이다. 삼례에서 제2차 기포한 전봉준 등 남접과 보은에 집결한 손병희 등 북접이 협력하여, 충청감영 소재지이며 서울로 올라가는 길목에 위치한 공주를 공격하기로 하였다. 동학농민군은 부여와 논산 방면에서 협공한다는 작전 계획을 세우고 공격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죽창으로 무장한 동학농민군은 우세한 화력을 가진 관군과 일본군의 견고한 수비를 돌파하지 못하고 참패하였다. 제2차 동학농민전쟁의 승패를 결정지은 전투로 평가되고 있다.

목차
정의
1894년 11월 동학농민군이 공주의 우금치에서 관군 및 일본군과 치른 전투.
경과와 결과

삼례에서 제2차로 주1전봉준(全琫準)주2과 보은에 집결한 손병희(孫秉熙) 주3은 협력해 충청감영 소재지이며 서울로의 북상 길목인 공주를 공격하기로 하였다.

10월 9일 논산에서 합류한 4만 명의 양측 주력부대는 주4을 거쳐 공주에서 30리 떨어진 주5에 주둔하였다. 여기에는 낙오한 청군(淸軍)도 40∼50명 가량 가담하였다.

이에 대항해 구상조(具相祖) · 성하영(成夏永)이 이끄는 경리청(經理廳) 병정과 장용진(張容鎭) 등의 통위영(統衛營) 병정을 중심으로 한 관군 810명과 우영장(右營將) 이기동(李基東)이 지휘하는 감영병이 주둔하고 있었다.

동학농민군은 공주를 부여와 논산 양 방면에서 협공한다는 작전계획을 세우고, 10월 23일 주6쪽부터 공격해 들어갔다. 이 날 관군은 패퇴하였고, 공주감영과 10여 리 되는 효포(孝浦)까지 빼앗겼다. 24일과 25일에는 관군의 응원군과 일본군 1개 중대 100여 명이 가세해 더욱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특히, 효포의 후면에 있으며 공주감영과 직통하는 웅치(熊荳)를 둘러싸고 공방전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그 대다수가 죽창으로 무장했기 때문에 잘 훈련되고 우세한 화력을 가진 관군과 일본군의 상대가 되지 못하고 패하였다.

다시 노성과 논산 초포(草浦)로 후퇴해 전열을 가다듬은 뒤, 이인과 우금치를 거쳐 공주로 들어가는 통로를 주공격로로 삼고, 웅치를 비롯한 몇 개의 통로를 보조공격로로 잡아 공주를 공격하기로 하였다.

11월 8일 동학농민군의 한 부대는 경천에서 판치(坂荳)를 거쳐 공주성의 남동쪽으로 진격했고, 다른 한 부대는 이인에 주둔하고 있던 관군을 남서쪽에서 압박하기 시작하였다.

드디어 오후 3시경 제1대는 먼저 판치를 넘어 효포를 공격해 관군의 관심을 그 쪽으로 돌렸다. 동시에 제2대 1만여 명은 이인에 주둔하고 있던 관군을 향해 진격하였다.

총지휘를 맡은 일본군 대위 모리야(森尾雅一)는 280명의 경리청병을 우금치산으로 후퇴시키고, 일본군 1개 소대와 함께 우금치를 수비하였다.

밤새 불을 피우고 총과 포를 발사하는 등 날카롭게 대치하고 있던 양군은 날이 새자 결전의 시간을 맞이하게 되었다. 11월 9일 오전 양군의 배치를 보면, 동학농민군은 동쪽의 판치부터 서쪽의 봉황산까지 40∼50리에 걸쳐 포진했고, 특히 주력부대는 우금치산 전방 500m에 있는 산 위로 전진해갔다.

통위영병과 감영병은 전면과 오른쪽 방어를 맡아 금학동 · 웅치 · 효포 · 봉황산에, 그리고 경리청병 일부와 급파된 독립19대대 중로분진대를 중심으로 한 일본군은 우금치산과 견준산(犬浬山)에 분산 배치되었다.

오전 10시 동학농민군은 우금치를 향해 공격을 개시했고, 동시에 삼화산(三和山)에 진을 쳤던 1만 여명의 동학농민군도 오실(梧室) 뒷산을 향해 전진하였다.

고지전(高地戰)적인 양상을 보인 전투에서 지세 상 유리한 곳에서 수비하던 관군과 일본군은 대포를 비롯해 각종 화기를 돌격하는 동학농민군에게 퍼부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굴하지 않고 계속 공격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공방전이 오후까지 이어졌으나, 관군의 공격적인 방어를 막지 못한 동학농민군은 패퇴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전투로 1만여 명이었던 동학농민군은 1차 2회 접전 후 3,000여 명밖에 되지 않았고, 다시 2차 2회 접전 후에는 500여 명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커다란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수적으로 열세였던 관군도 감히 더 이상 그들을 추격하지 못하고 정세만 살피고 있었다

한편, 효포쪽을 공략하던 동학농민군은 관군의 방어가 소홀하면 그 틈을 타서 산봉우리를 점령하는 등 하루종일 파상적인 공격을 가하였다.

커다란 희생을 치렀으면서도 관군과 일본군의 견고한 수비를 돌파하지 못한 동학농민군은 결국 11일 오후에 노성과 논산쪽으로 완전 후퇴하기에 이르렀고, 전봉준은 조선사람끼리 싸우지 말고 척왜(斥倭)와 척화(斥和)를 하자는 격문을 발표하였다.

또, 효포에 주둔하고 있던 수천 명의 동학농민군도 사기를 상실해 변장한 관군 10여 명에게 기습당하고 계룡산 방면으로 후퇴하고 말았다. 공주를 점령한 다음 서울로 북상하려던 동학농민군은 이렇게 우금치에서 좌절당하고 말았다.

의의와 평가

우금치전투의 참패는 서울로의 북상을 완전히 포기하게 했고, 제2차 동학농민전쟁의 승패를 결정지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전봉준과 갑오농민전쟁』(우윤, 창작과 비평사, 1993)
『주한일본공사관기록(駐韓日本公使館記錄)』 1(국사편찬위원회, 1986)
『동학난기록(東學亂記錄)』 상·하(국사편찬위원회, 1959)
주석
주1

동학 농민 운동 때 농민 등이 동학의 조직인 포(包)를 중심으로 하여 봉기(蜂起)하던 일.    우리말샘

주2

동학 조직 가운데 전봉준이 이끄는 전라도 지역의 동학도를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3

동학 조직 가운데 이대 교주 최시형이 이끄는 충청도 지역의 동학도를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4

충청남도 논산시 북부에 있는 면. 동쪽에 노성산이 자리하고 있으며, 동남쪽은 노성천과 맞닿아 있다. 농업ㆍ양잠업ㆍ양봉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특산물로 멜론, 토마토 등이 생산된다. 문화재로는 논산 노성산성, 노성 향교 등이 있다. 2019년 충청남도 논산시청 누리집을 기준으로 면적은 35.77㎢.    우리말샘

주5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에 있는 이. 계룡면의 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 평지이다. 서쪽 경계를 따라 노성천이 흐르며, 마을 중앙부에 용두천이 동서로 흐른다. 697번 지방도가 지난다.    우리말샘

주6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에 있는 이. 이인면의 중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평지이다. 용성천이 서에서 북동으로 마을을 관통하며 흐르고, 그 주변에 농경지와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다. 동쪽에는 산의천이 흐르며, 초등학교ㆍ파출소ㆍ보건 지소ㆍ우체국 등이 있다. 논산 천안 고속 도로가 남북으로 지나며, 40번 국도와 697번 지방도가 지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장영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