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봉 수향낭 ( )

목차
의생활
유물
문화재
조선 말기에 궁중에서 장식용으로 사용하던 향낭.
목차
정의
조선 말기에 궁중에서 장식용으로 사용하던 향낭.
개설

운봉수향낭은 1979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궁중의 내실에 장식되었던 향낭으로 여인들이 몸에 지니고 다니던 일반 향낭에 비해 규모가 크다. 제작연대는 18∼19세기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이 유물은 사전자수박물관(한국자수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향낭은 여인들이 몸에 지니고 다니던 장식구의 일종으로 고려시대의 기록에도 나타난다.『고려도경(高麗圖經)』의 기록에는 고려의 귀부인들은 문라와 화능의 옷을 입고 금향낭(錦香囊)을 찬다고 했다.운봉수향낭은 보통의 향낭에 비해 크기가 크며 정교하고 화려한 궁중자수기법을 사용하고 있어 궁중의 내실에 장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형태는 가운데 둥근 몸체를 중심으로 위에는 큰 나비의 형상이 덮여 있고, 아래에는 연꽃으로 받침을 하였다. 향낭 위에는 매듭을 달아 장식하고 끝에 긴 고리를 만들어 걸게 하였다. 양 가장자리에는 위에서부터 각색의 끈목을 늘어트려 장식하였다. 고리에서 끈목장식까지의 총 길이는 87.5㎝이다.

몸체 자수 부분의 바탕천은 백색으로 무늬가 없이 짠 공단을 사용했으며 흑·백·청·홍·녹·황색의 견사로 자수하였다. 자수의 기법은 평수·자련수·매듭수·자릿수·이음수로 수놓았다. 상단에는 나비 모양으로 만든 테두리 안에 날개를 펼친 큰 나비를 정면을 향하도록 대칭이 되게 수놓았다. 나비의 날개에는 꽃을 넣어 장식했다.

중단에는 가운데 세 겹의 줄로 원을 두르고 그 안에 상하로 날고 있는 오채봉황을 배치하고 여백에는 오색구름을 채워 넣었다. 위쪽의 봉황은 불로초를 입에 물고 있다. 가장 자리에는 운기(雲氣)형상의 테두리와 보문을 둘러 장식했다.

하단은 6개의 꽃잎으로 구성된 연꽃이 받치고 있는 형상으로 각각의 꽃잎에는 5마리의 박쥐와 불로초를 수놓았다. 박쥐는 장수를 기원하는 길상문양으로 5마리의 박쥐는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 등 오복을 상징한다.

향낭의 외곽선은 금종이로 싼 실로 둘렀다. 향낭 윗부분의 걸이장식은 다홍색의 동다회를 써서 도래매듭, 생쪽매듭, 가지방석매듭으로 장식하고 양쪽 생쪽매듭 끝에는 아래 몸체와 연결하여 오색사로 짠 동다회를 달아 장식적인 효과와 더불어 기능적인 효능을 더하였다. 매듭에는 부분적으로 연금사를 말아 감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양옆으로는 각색 동다회 끈목을 술처럼 길게 늘어뜨려 장식 하였으며 끈목의 위쪽은 금실을 감아 꾸미고 아래쪽 끝에는 도래매듭을 맺어 마무리 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2 복식·자수편』(문화재청, 2006)
『韓國の古刺繡』(허동화(許東華), 동붕사출판(同朋舍出版), 1982)
『한국(韓國)의 자수(刺繡)』(허동화(許東華), 삼성출판사(三省出版社), 1978)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