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건중 ()

목차
법제·행정
인물
일제강점기 때,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원 참사를 역임하였으며, 해방 이후 농림부장관을 역임한 관료 ·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소암(昭庵)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7년
사망 연도
1987년
본관
파평(坡平)
출생지
전라북도 완주
관련 사건
3·1운동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때,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원 참사를 역임하였으며, 해방 이후 농림부장관을 역임한 관료 · 독립운동가.
내용

1897년 전라북도 완주 출생으로, 본관은 파평(坡平), 호는 소암(昭庵)이다.

1916년 영명중학교(永明中學敎)를 졸업한 뒤, 1919년 3월 1일 파고다공원의 독립선언서 선포식에 참석하고는 전주에서 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계획했다.

「독립선언문」 등을 자전거 뼈대 속에 숨겨 전주로 탁송해 김인전(金仁全) 목사, 김가전(金嘉全), 이수연(李守淵), 최종삼(崔宗三) 등과 모의, 3월 13일 전주장 날을 기해 만세시위를 주도했다.

이로인해 사건 주모자로 지목되어 피신하던 중 조선총독부 참의원 전라북도대표 김윤정(金潤晶)을 살해하려다 미수에 그쳐 수배당했다.

상해로 망명, 이승만(李承晩), 임병직(林炳稷), 김갑수(金甲洙), 정환범(鄭桓範) 등과 사귀는 한편, 1920년 3월 25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원 참사로 임명되어 활동했다.

1922년 이승만의 권유로 독일로 유학해 튀빙겐대학[University of Tubingen]에 입학했다가 뮌헨대학[Ludwig Maximilian University of Munich] 정경과로 전학해 1927년 5월 졸업했다.

살인미수죄의 공소시효가 끝난 1929년 겨울에 귀국,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에 봉상산업조합(鳳翔産業組合)을 설립해 지방특산품인 생강의 생산자와 소비자의 직거래체제를 통한 소비자가격을 보장해줌으로서 자립경제달성과 민족자본 형성에 기여했다.

해방 후 군산에 있는 농기구 생산공장인 조선이기공업사(朝鮮利器工業社)를 인수했다.

1954년 5월 제9대 농림부 장관으로 발탁되었으나 국회에서 농민의 쌀생산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쌀값을 올려야 한다고 주장해 흉년으로 폭등하는 쌀값대책에 큰 마찰을 빚은 데다 농림부 직원의 독직사건이 겹쳐 재임 56일 만에 사임했다.

이후 전북대학교에서 독일어 강사를 하면서 완주군 삼례읍의 삼례여자고등학교(參禮女子高等學校)와 읍사무소 건립에 필요한 토지를 흔쾌히 기부하기도 했으며, 1977년 12월 독립운동유공자로 대통령표창, 1990년 12월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참고문헌

『독립유공자공훈록』5(국가보훈처, 1988)
『한국독립운동사자료』7(국사편찬위원회, 1973)
『독립운동사』3(국가보훈처, 1971)
『민족독립투쟁자료』해외편(여론사, 1956)
『조선민족운동연감』(동문사서점, 194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