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승 ()

근대사
인물
개항기 형조판서, 전환국총판, 판의금부사을 역임한 무신.
이칭
총선(總仙)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28년(순조 28)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전주(全州)
정의
개항기 형조판서, 전환국총판, 판의금부사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총선(總仙). 병조판서 이규철(李圭徹)의 아들로 이규남(李圭男)에게 입양되었으며, 군부대신 이종건(李鍾健)의 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58년(철종 9) 황해도수군절도사를 지냈다. 종실(宗室)로 군사권을 장악하게 하던 대원군에 의하여 1865년(고종 2)부터 만 2년 동안 황해도병마절도사를 지낸 뒤 좌포도대장·함경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1874년 좌포도대장으로 세곡선 부정과 명화적(明火賊)의 발호를 막지 못하였다고 파면되었다. 1876년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맺은 뒤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되어 해안방비에 힘썼다.

그 뒤 금위대장과 강화도유수·공조판서를 거쳐,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기 3개월 전에 좌포도대장이 되었다. 그러나 난민들이 남산 아래 이동(泥洞)에 있던 이종승의 집을 습격하여 가재도구를 파괴하자 시골로 피신하였으며, 이종승의 집은 제물포조약을 강요하려는 일본 하나부사[花房義質]공사가 이끌고 온 일본군의 주둔처가 되었다.

1885년 여전히 시골에서 올라오지 않자, 정부에서는 유배를 명하였다가 곧 한성부판윤을 제수하였다. 이듬해 평안도병마절도사에 임명되면서 감사와 항례(抗禮)하는 특전을 부여받았다. 그 뒤 형조판서·전환국총판(典圜局總辦)·판의금부사를 거쳐, 1900년 궁내부특진관이 되었다.

참고문헌

『철종실록(哲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금구록(金甌錄)』
『東邦關係』(渡邊修二郎, 1894)
집필자
장영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