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룡 유물 ( )

목차
관련 정보
정기룡 장군 유물 중 교지
정기룡 장군 유물 중 교지
의생활
유물
문화재
조선 중기의 장군 정기룡의 유물.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정기룡 유물(鄭起龍 遺物)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80년 08월 23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상주시 경천로 684 (사벌국면, 상주박물관)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장군 정기룡의 유물.
내용

198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유물로는 요대(腰帶), 신패(信牌), 유서(諭書), 교서(敎書), 교지(敎旨) 등이 있는데, 이는 그가 재임시에 사용하던 것이다.

① 요대: 1개. 길이 157㎝, 너비 4.5㎝로 문양이 투각된 각제 띠돈에 금속 테를 둘러 혁대에 붙였고, 그 사이에 화문장식을 하였다. 전면 걸이장식은 훼손된 상태이다.

② 신패: 1폭. 명나라 도독 마귀(麻貴)의 신패로서 세로 55㎝, 가로 64㎝이며, 1598년(선조 31) 4월에 발행한 것이다.

③ 유서: 1매. 1617년(광해군 9) 3월 7일에 내린 유서로서 세로 26㎝, 가로 91㎝이다. 그 내용은 “유 삼도통제사겸 경상우도수군절도사 정기룡 만력45년 3월 초7일(諭三道統制使兼慶尙右道水軍節度使鄭起龍萬曆四十五年三月初七日)”이다.

④ 교서: 2축. 임금이 발행하는 명령서로 두축의 내용은 같으나 발령연대와 규격의 차이가 있다. 내용은 “교 삼도통제사겸 경상우도수군절도사 정기룡(敎三道統制使兼慶尙右道水軍節度使鄭起龍)”이다. 발행연월과 규격은 1617년 3월 7일에 발행된 것은 세로 170㎝, 가로 52㎝이고, 1629년(인조 7) 2월 25일에 발행된 것은 세로 300㎝, 가로 80㎝이다.

⑤ 교지: 1매. 시호를 내린 교지로서 1773년(영조 49) 5월 28일자이며, 세로 94㎝, 가로 63㎝이다. 내용은 “보국숭록대부행지중추부사겸 오위도총부총관 정기룡 증시 충의공자 건륭38년 정월 25일(輔國崇祿大夫行知中樞府事兼五위都摠府摠管鄭起龍贈諡忠毅公者乾隆三十八年正月二十五日)”이다. 정호경이 소유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갑주」(이강칠, 『고고미술』 146, 한국미술사학회, 198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