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민보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인민보
조선인민보
언론·방송
문헌
1945년에, 서울에서 『경성일보』의 좌파 기자들이 국문으로 창간한 일간 신문.
목차
정의
1945년에, 서울에서 『경성일보』의 좌파 기자들이 국문으로 창간한 일간 신문.
내용

8·15광복 후 서울에서 가장 먼저 나온 일간신문으로, 9월 8일 조선총독부 기관지였던 ≪경성일보 京城日報≫에서 나온 좌파기자들이 타블로이드판 국문신문으로 창간하였다.

사장 겸 발행인은 김정도(金正道), 부사장은 고재두(高在斗)였으며, 편집실은 종로 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 두었고, 조선교학도서회사(朝鮮敎學圖書會社)에서 인쇄하였다.

이 신문은 1945년 11월 11일부터 북한 지지의 좌파 거물 언론인이던 홍증식(洪璔植)이 발행인을 맡았고, 1946년 5월 12일부터는 편집인·발행인 겸 주간이 고재두로 바뀌었으며, 그해 7월 1일자부터 주필에 임화(林和), 정리위원에 한상운(韓相運) 등이 참여하였다.

이 신문은 편집이 비교적 세련되었고, 이념적으로 이른바 진보적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좌익적 성향을 띠었으며 조선인민공화국의 기관지임을 자처하고 나섰다.

1∼51호까지는 사설 없이 발간되었으나 52호(1945년 11월 11일자)부터 ‘사이비의 횡행(橫行)’이라는 제목으로 사설을 게재한 이후 사설과 기고문을 계속 실었다.

창간호에는 <Welcome Allied Forces>라는 제목 아래 대형사진을 싣고 <연합군을 환영함>이라는 박세영(朴世永)의 시를 싣기도 하였으나, 1945년 12월 12일 하지(Hodge,J.R.) 중장의 조선인민공화국 부인성명이 발표되자 14일자 사설에서 <하지중장 성명과 민중의 의혹>이라는 제목으로 미군정을 비난하기 시작하였다.

1945년 12월 29일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국에 대한 5개년 신탁통치안이 결정되었을 때는 하룻동안 보도를 연기하였다가 이튿날 보도하였으나, 좌익의 입장이 찬탁으로 돌변하자 이 신문도 찬탁을 지지하고 나섰다.

이 때문에 그해 12월 29일 우익청년들이 직공을 납치하고 수류탄을 던지기도 하였는데, 이것이 광복 이후 첫번째의 신문사 테러였으며 이후에도 몇 차례의 테러를 당하였다.

1946년 7월 7일에는 주필 임화와 인쇄인 김경록(金景錄)이 구속되기도 하였으며, 그 해 8월 8일에는 서울시민들의 식량배급 청원데모의 선동적인 기사를 다루어 사장 홍증식과 편집국장 김오성(金午星)이 구속되어 체형과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이 신문이 좌익세력의 대변지 구실을 하면서 계속 미군정 당국을 공격하자 군정 당국은 1946년 9월 6일 신문사를 수색, 유중렬(柳重烈)·이장영(李章榮)·정우식(鄭祐植) 등 사원 다수를 검거하여 구속하는 한편, 이 신문에 대하여 무기한 발행정지처분을 내렸다.

이 신문은 그 뒤 속간되지 못하고 사실상 폐간되었다가 1950년 6월 북한 공산당이 서울을 점령한 이후 공산당 선전지로 발행되다가 공산군이 후퇴하면서 자연 소멸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신문사』(최준, 일조각, 1971)
『한국신문사논고』(최준, 일조각, 1976)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