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서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지평, 보덕, 창원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백부(伯符)
지족(知足), 충헌(忠軒)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54년(단종 2)
사망 연도
1504년(연산군 10)
본관
임천(林川)
주요 관직
지평|보덕|창원부사
관련 사건
갑자사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지평, 보덕, 창원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백부(百符), 호는 지족정(知足亭) 또는 충헌(忠軒). 조익(趙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직장(直長) 조민원(趙敏原)이고, 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조찬(趙瓚)이다. 어머니는 생원 정참(鄭叅)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74년(성종 5) 생원시에서 1등으로 합격하고, 같은 해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면서, 권지승문원정자에 제수되었다. 1478∼1479년에는 통신사 이계동(李季仝)의 군관(軍官)이 되어 일본에 내왕하였다. 1479년 승문원저작으로 다시 문과중시에 1등으로 급제하고 형조좌랑에 발탁되었다.

이 해 건주위(建州衛) 정벌을 위하여 파견된 서정대장(西征大將) 어유소(魚有沼)의 종사관이 되어 서정에 참가했으나, 어유소의 파병(罷兵)과 관련된 전명(傳命)을 잘못하여 고신을 몰수당하고 외방에 유배되었다. 그 뒤 1481년 “문학에 뛰어난 인물이니 서용하라.”는 성종의 특지에 따라 서반직에 복직된 뒤 교리·형조정랑·지평·응교, 세자시강원필선·보덕을 역임했으며, 이와 함께 경연(經筵)의 시독관(侍讀官)과 시강관(侍講官)을 항상 겸대하였다.

이어 1495년(연산군 1) 창원부사로 파견되었다가 곧 사직하고, 지리산에 은거하여 학문에 전념하였다. 1504년 갑자사화가 일어나, 세자시에 그의 풍간(諷諫)함과 집요한 진강(進講)을 혐오했던 연산군의 기휘(忌諱)로 이에 연루되어 참살되었다. 성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충효와 시문으로 명망이 높았다. 『동문선』에 「언심견투(彦深見投)」라는 제목의 시 1수가 전한다.

1506년 (중종 1) 관작이 회복되고 통정대부 승정원도승지에 추증되면서 신원(伸寃: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었다. 경상남도 진주의 신당서원(新塘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남명집(南冥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대동기문(大東奇聞)』
『해동잡록(海東雜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동문선(東文選)』
『한국인(韓國人)의 족보(族譜)』(일신각,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