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고인돌 ( )

목차
관련 정보
제주 외도 지석묘 2호 정면
제주 외도 지석묘 2호 정면
선사문화
유적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청동기시대에 축조된 고인돌군. 지석묘군. 시도기념물.
정의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청동기시대에 축조된 고인돌군. 지석묘군. 시도기념물.
개설

1971년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971년 8월 26일 용담지석묘 1 · 2 · 3 · 4 · 5 · 6호와 오라지석묘 1호, 도련지석묘 1 · 2호, 삼양지석묘 1호, 외도지석묘 1 · 2 · 3 · 4 · 5호, 광령지석묘 1 · 2 · 3 · 4 · 5 · 6호, 하귀지석묘 1 · 2호, 창천지석묘 1호, 신례리지석묘 1 · 2호 등 총 26기가 하나의 번호로 일괄 지정되었다.

내용

제주도에서 보고된 고인돌은 100여 기이다. 그 대부분은 지표조사를 통해서 확인되어 대정읍 가파도(加波島)에서 확인된 20여 기의 고인돌 일부도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에는 고인돌이 아닌 것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제주시 한천(漢川)변의 경우, 1959년 김철준(金哲埈)의 조사보고에 따르면 30여 기였던 것이 현재는 10여 기도 채 안 되는 것으로 보아, 원래는 제주도 전역에 수백 기 이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 고인돌은 다른 유물 산포지나 주거지, 패총 등의 생활 유적과 같이 대체로 해발 100m 이내의 해안지역에 분포한다. 한반도의 경우처럼 상호 몇 m 이내 거리에 무리를 지어 있는 경우는 없고, 가까워야 수십 m 또는 수백 m를 사이에 두고 있다.

10기 이상의 고인돌이 발견된 곳은 한천변의 제주시 용담동(龍潭洞), 외도천(外都川)의 외도동(外都洞)과 애월읍 광령리(光令里), 대정읍 동일리(東日里), 가파도 등이다.

특히, 제주시 한천과 외도천변에는 각각 20여 기 이상 있었거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3∼5기 정도가 있는 곳은 제주시 삼양동(三陽洞), 애월읍 곽지리(郭支里), 대정읍 창천리(創川里), 서귀포시 상예동(上倪洞) 등이 있다.

제주도 고인돌의 형식은 6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제1형식은 지석(支石)이 없이 넓적한 상석(上石)만 있는 무지석식, 제2형식은 3∼4개의 지석으로 상석을 고인 형식이다.

제3형식은 지석을 2중으로 고인 형식이다. 제4 · 5 · 6형식은 지석을 판석으로 다듬어 만든 형식이다. 제4형식은 비탈면을 높은 쪽은 작고 낮은 괴석(塊石)으로 고이고, 낮은 쪽은 판석모양의 돌 1매로 고인 형식이다.

제5형식은 수매의 판석모양의 돌을 상석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사이를 두고 고인 형식이다. 제6형식은 판석 10매 이상을 상석의 가장자리를 돌아가며 거의 빈틈없이 고인 형식이다.

제1 · 2 · 3형식은 제주도 전역에 있지만 제4 · 5 · 6형식은 제주시 한천변과 외도천에서만 집중적으로 보인다. 특히, 제주시 한천변의 서쪽 용담동에는 3기의 대형 고인돌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자리잡고 있다.

용담동 1호는 320㎝×310㎝×80㎝ 크기의 상석을 70㎝×50㎝×20㎝ 크기의 판석모양 지석 13개로 고인 형식이다. 이러한 제6형식의 고인돌은 가장 발전된 형태로서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어 ‘제주도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들 고인돌의 연대는 제주시 용담동 2호와 남원읍 예례동의 고인돌의 발굴조사로 하부에서 출토된 곽지1식 토기를 통해서 추정할 수 있다.

곽지1식 토기는 곽지리 패총과 제주시 용담동 옹관묘 유적에서 대체로 철기와 타날무늬 회색도기(灰色陶器)와 함께 출토됨으로써 중심 연대는 1세기부터 3세기로 확인된다. 따라서 고인돌의 상한은 서기전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지만, 특히 제4 · 5 · 6형식의 제주도 고인돌의 중심 연대는 서기 이후로 이해된다.

그 중에서 형식적으로 가장 발전된 제6형식인 제주도식 고인돌의 실제 연대는 더 늦은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정확한 실제 연대는 곽지1식 토기의 형식분류와 편년이 더 진전될 때 단정내릴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제주도고고학연구』(이청규, 학연문화사, 1995)
「제주도유적」(『제주대학교박물관 유적조사보고』2, 1986)
「제주도 지석묘 연구(1) 북제주군 애월읍 광령리 지석묘군」(이청규, 『탐라문화』4, 1985)
집필자
이청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