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

목차
관련 정보
지하철
지하철
인문지리
개념
고속전철 체계에 의하여 도심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하의 전용차선으로 운행되는 도시전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속전철 체계에 의하여 도심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하의 전용차선으로 운행되는 도시전철.
개설

1974년 서울에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된 이래 2011년, 한국의 지하철은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 등 6개 대도시에 17개 노선 537㎞의 도시철도가 운행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지하철은 1863년 영국 런던 시의 중심가인 비숍 로드(Bishop Road)의 패딩턴(Paddington)에서 패링던 스트리트(Farringdon Street)까지의 6.4㎞가 메트로포리탄 전기회사에 의해 처음 건설되었다. 그 후 1892년 미국 시카고에서 지하철이 건설되었으나 이때의 지하철은 모두 증기철도였으며, 최초로 지하철이 전기철도가 된 것은 1890년 런던의 지하철부터였다.

전기회사에 의한 지하철 보급을 보면, 1896년 글래스고, 1900년 파리, 1901년 보스턴, 1902년 베를린, 1907년 필리델피아, 1908년 뉴욕으로 확산되었다.

동양에서의 지하철은 1927년 일본 도쿄의 아사쿠사[淺草]에서 우에노[上野] 사이의 2.2㎞가 개통되었고, 1933년에 오사카, 1957년에 나고야로 확산되었다.

우리나라는 1974년 서울특별시에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었고, 1985년에는 부산광역시에 1호선이 세계에서 65번째로 개통되었다. 1997년에는 대구광역시에 1호선이, 1999년에는 인천광역시에 1호선이, 2004년과 2006년에 광주광역시·대전광역시에 각각 1호선이 개통되어 울산광역시를 제외한 모든 광역시에 지하철이 운행되고 있다.

현황

1974년 서울지하철 1호선의 개통으로 지하철시대가 개막되어 서울특별시에는 9개의 노선이, 부산광역시에는 4개, 대구광역시에는 3개, 인천광역시에는 2개, 광주광역시·대전광역시에는 각각 1개로 모두 20개의 노선이 분포하고 있다. 이들 노선의 2009년 연간수송인원은 21억 8234만 6000명으로 우리나라 여객수송인원의 17.0%를 차지하였다.

서울지하철은 1970년 6월 지하철건설본부로 발족하여 1974년 4월 지하철본부로 개칭을 한 후 1981년 9월 서울지하철공사로 창립되었고, 1994년 3월에 서울도시철도공사가 별도로 창립되었다.서울지하철공사는 2005년 10월 서울메트로로 개칭하고 1∼4호선의 120개 역과 137.9㎞의 영업거리를 갖추고 있고, 1994년 3월에 창립된 서울시도시철도공사는 5∼9호선의 173개 역과 179.0㎞의 영업거리를 갖고있다.

2017년 5월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하였다.

한편 지방 대도시의 경우 부산교통공단은 부산교통권역내에 대중교통 시설의 건설을 추진하고 운영의 합리화를 기함으로써 도시교통의 발전과 시민생활의 편익 및 복지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해 1981년 1월 부산시 지하철건설본부로 발족하여 1988년 7월 공단으로 창단하였다. 대구도시철도공사는 신속하고 안전한 대중교통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대구시민의 편익도모와 복리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95년 11월에 창립하였다.

인천메트로는 1992년 6월 인천도시철도건설본부로 발족하여 1998년 4월 그 명칭을 변경하였는데, 도시철도 건설 및 운영을 통하여 도시교통의 발전과 이용시민의 편익향상 및 복리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또한 광주도시철도공사는 도시교통의 발전과 안전하고 신속한 대중교통수단을 제공하여 시민의 복리증진에 기여하고자 2002년 11월에, 그리고 대전도시철도공사는 도시철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도시교통의 발전과 이용시민의 편익 및 복리증진에 기여하고자 2005년 1월에 창립되었다.

2011년, 각 도시의 지하철 연장과 역수를 보면 서울특별시는 316.9㎞에 293개의 역이, 부산광역시는 107.8㎞에 108개의 역이, 대구광역시는 53.9㎞에 56개의 역이, 인천광역시는 29.4㎞에 29개의 역이, 광주광역시는 20.5㎞에 20개 역이, 대전광역시는 20.5㎞에 22개의 역이 분포한다.

각 노선의 소요시간을 보면 서울특별시에서는 7호선의 장암∼부평구청 사이가 104.5분으로 가장 많이 소요되고, 이어서 2호선(성수∼성수)이 90분, 5호선(방화∼마천)이 87.5분 소요되며, 1호선(서울역∼청량리)이 18분으로 가장 짧다. 부산광역시의 경우는 2호선(장산∼양산)이 85분으로 가장 많이 소요되고, 이어서 1호선(노포∼다대포해수욕장)이 78분이며, 4호선(안평∼미남)이 25분 소요되어 가장 짧다. 대구광역시의 경우는 1호선(설화명곡∼안심)과 2호선(문양∼영남대)이 55분, 3호선(칠곡경대병원~용지)이 48분 소요된다. 인천광역시의 경우는 54분, 광주광역시는 35.9분, 대전광역시는 40분이 각각 소요된다.

또한 2009년 지하철의 승차인원을 보면, 서울특별시의 경우 약 2억 7300만 명을 수송하였는데, 1인당 승차거리는 약 5.8㎞로 5·6호선의 승차거리가 가장 길고, 9호선이 가장 짧은 4.0㎞를 나타내었다. 부산광역시의 승차인원은 약 2억 6400만 명, 대구광역시는 1억 1200만 명, 인천광역시는 약 1700만 명, 광주광역시와 대전광역시는 각각 1700만 명, 3400만 명이었다.

참고문헌

『교통지리학의 이해』(한주성, 한울, 2010)
광주도시철도공사(www.gwangjusubway.co.kr)
국토해양부(stat.mltm.go.kr)
서울도시철도공사(www.smrt.co.kr)
서울메트로(www.seoulmetro.co.kr)
인천메트로(www.incheonmetro.co.kr)
대구도시철도공사(www.dtro.or.kr)
대전도시철도공사(www.djet.co.kr)
부산교통공사(www.humetro.busan.kr)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