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소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개성부유후, 공조판서, 판한성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시호
제정(齊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422년(세종 4)
본관
강화(江華)
주요 관직
판한성부사
정의
조선 전기에, 개성부유후, 공조판서, 판한성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강화(江華). 고려 공민왕 초에 의릉직(毅陵直)에 제수, 이후 감찰규정(監察糾正)·계림부판관(鷄林府判官)·이성등처관군만호(泥城等處管軍萬戶) 등을 역임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70년(공민왕 19) 전라도체복사(全羅道體覆使)로 파견되어 민심을 위유하고, 같은 해 7월 환경하여 신돈(辛旽)을 먼저 본 뒤에 왕을 알현하여 장형(杖刑)을 받았고, 고려 말에 공조전서를 역임하였다.

1394년(태조 3) 회례사(回禮使)로 일본 구주(九州)에 파견되어 구주절도사(九州節度使) 이미카와(令州了俊)에게 왜구를 토벌하여 양국의 우호를 도모하자는 국서를 전하고, 이마카와가 차견(差遣)한 승려 종구(宗俱)와 함께 피로인 570여 명을 대동하고 귀국하였다.

1397년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 1398년 강원도도관찰사를 지냈다. 1400년(정종 2) 3군 도진무(都鎭撫)로 재직 중 방간(芳幹)의 모반에 연좌되어 하옥되었다가 방면되고, 곧 검교참찬문하부사(檢校參贊門下府事)에 좌천되었으며, 곧 방간의 당여로 재차 논죄되어 삭직, 장형을 받았으나, 태종이 즉위하면서 사면되었다.

1403년(태종 3) 승녕부윤(承寧府尹)으로 복직되고, 그 해 좌군총제(左軍總制)에 개수(改授)되고, 그 뒤 안동부사·개성부유후 등을 역임하였다. 1413년 형조판서로 한성부윤 김겸(金謙)과 함께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고, 그 해 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414년 판한성부사가 되고, 이듬해 전라도의 조운책(漕運策)을 진언(陳言)하였다. 성품이 청백하면서도 절개가 굳고, 언행이 정중하였다. 일찍이 명나라에 들어가 옥하관(玉河館)의 건축을 감독하고 명성을 얻기도 하였다. 시호는 제정(齊貞)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정종실록(定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집필자
한충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