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해향교 ()

목차
관련 정보
평해향교
평해향교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에 있는 고려후기 제31대 공민왕 당시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문화재자료.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3701600000
지정기관
경상북도
명칭
평해향교 대성전
원어
平海鄕校 大成殿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제160호
지정일
1985년 08월 05일
소재지
경북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 901번지
경도
129.441957733761
위도
36.7286894615182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3701600000
해제여부
N
목차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에 있는 고려후기 제31대 공민왕 당시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문화재자료.
내용

1357년(고려 공민왕 6)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407년(태종 7) 군수 김한철(金漢徹)과 향중유림이 협의하여 송릉(松陵)으로 이전하였다가 1470년에는 대성전이, 1474년에는 명륜당이 지어지면서 향교로서의 규모를 갖추었다. 1612년(광해군 4) 현재의 위치로 이건되었고, 1732년에 대성전과 명륜당이 중수되었다. 1742년에 동 · 서무가 지어졌고, 1869년에 동 · 서무와 태화루(太和樓)가 중수되었다. 1886년에는 대성전과 명륜당이 고쳐졌다.

1976년 대성전을 보수하였으며, 1977년 전교(典校) 김이두(金利斗)의 사재(私財)와 국고보조로 태화루(太和樓)를 복원하고 명륜당을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8칸의 대성전,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삼문(三門), 7칸의 명륜당, 8칸의 태화루 등이 있다. 건축형태는 명륜당 앞면에 동 · 서재 대신 태화루가 자리하여 대성전과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이다. 대성전은 양 측면에 풍판을 단 맞배기와집인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정면은 겹처마로 되어 있으며, 배면은 홑처마로 되어 있다. 명륜당은 팔작 기와집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로 지어졌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봄 · 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 ·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대성전은 1985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으며, 소장전적 가운데 『조선청금록(朝鮮靑衿錄)』 · 『유안(儒案)』 · 『고금향안서(古今鄕案序)』 · 『고금유안총록(古今儒案總錄)』 · 『액내외안(額內外案)』 · 『향헌령(鄕憲令)』 · 『접중완의(接中完議)』 · 『평해동몽안(平海童蒙案)』 등은 이 지방의 향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현재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태학지(太學志)』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집필자
김호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