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종유 ()

목차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사관수찬, 찬성사, 좌정승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사고(師古)
복재(復齋)
시호
문절(文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87년(충렬왕 13)
사망 연도
1354년(공민왕 3)
본관
청주(淸州)
출생지
한양(漢陽)
주요 관직
사관수찬|찬성사|좌정승
관련 사건
조적(曺頔)의 난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사관수찬, 찬성사, 좌정승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고(師古), 호는 복재(復齋). 한양 출신. 밀직 힌영(韓英)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04년(충렬왕 30) 과거에 급제해 사한(史翰)에 들어갔고 충숙왕 때 사관수찬(史館修撰)이 되었다.

그 뒤 예문관응교가 되었고, 1320년(충숙왕 7) 정방(政房)의 전주(銓注: 인사행정)에 참여하였다. 이때 심왕 왕고(瀋王 王暠)가 왕위를 노려 충숙왕과 대립하자 왕을 위해 노력한 이조년(李兆年)과 더불어 의논해 간신을 잡아 물리쳐, 심왕에게 왕위를 전하는 일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1331년(충혜왕 1)에는 밀직제학으로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진사를 뽑게 되었다. 이때 최안도(崔安道)의 아들 최경(崔瓊)이 부정으로 합격하자 간관 허옹(許邕), 정언 조렴(趙廉) · 정천유(鄭天濡) 등이 글을 올려, 시험이 공정하지 못하다며 다시 시험을 치를 것을 청하였다.

또한 1339년(충숙왕 복위 8) 조적(曺頔)의 난 때에는 정승 김륜(金倫)과 함께 이 난을 처리하는 책임을 맡기도 하였다. 1342년(충혜왕 복위 3)에는 조적의 난으로 충혜왕이 원나라에 불려갔는데 이때 시종 충절로 충혜왕을 변호하였다. 그 결과 1등공신으로 책봉되었고, 부모와 아내와 자식에게도 벼슬이 주어졌으며, 전답과 노비도 받게 되었다.

1343년에는 한양군(漢陽君)에 봉해지고 찬성사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왕이 악양(岳陽)에 행차할 때에 왕에게 충성한 사람은 한종유와 이조년뿐이었는데, 이조년이 별세하자 원나라에서 원자(元子)를 부탁하고자 한종유를 불렀다.

1344년에 조칙으로 충목왕을 모시고 귀국해 정사를 보필하게 되어 좌정승에 임명되었다. 충정왕이 왕위에 오른 뒤 권신들이 정치를 멋대로 처리하자 부원군(府院君)으로 향리에 물러앉아 도읍에 나타나지를 않았다. 1352년(공민왕 1)에는 김승택(金承澤)과 함께 서연(書筵)에 들어가자 왕이 예우로써 대접하고 재상을 삼고자 했다고 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