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주대첩비 <구비> ( <>)

목차
관련 정보
고양 행주대첩비<구비> 전경
고양 행주대첩비<구비> 전경
서예
유적
문화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권율 관련 전공비.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권율 관련 전공비.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2기(基). 높이 178㎝, 너비 82㎝, 두께 18㎝. 1978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593년(선조 26) 권율(權慄)이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물리치고 승리를 거둔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1602년(선조 35)에 설립하였다.

대리석재의 비로서 기단부는 묻혀 있다. 앞면의 상부에 약간의 균열이 있고,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단까지 약 3㎝ 정도로 쪼개져 있으며, 마멸이 매우 심하여 부분적으로 수십자밖에는 알아볼 수 없는 상태이다.

비문은 최립(崔岦)이 짓고 한호(韓濩)가 썼으며, 김상용(金尙容)이 ‘元帥權公幸州大捷碑(원수권공행주대첩비)’ 9자의 두전(頭篆)을 썼다. 비음은 사위인 이항복(李恒福)이 짓고, 김현성(金玄成)이 썼다.

비문에는 막료와 사병들이 그의 공적을 사모하여 비를 세우게 되었다는 동기를 적고 있다. 즉, 1593년 2월 권율이 정예군 2,300명을 거느리고 행주산성에 주둔, 일본군의 공격에 맞서 육박전으로 승리하고 적군의 깃발 · 투구 · 갑옷 · 무기 등을 노획한 혁혁한 전과를 밝히고, 권율의 가문과 같이 좋은 가문에서 비롯된 인격과 덕은 전투를 승리로 이끌 수밖에 없었으며 나아가 이를 기리지 않을 수 없어 비를 세운다는 등의 내용이 실려 있다.

글씨는 해서로서 왕희지 서풍에 가깝게 매우 정중하고 단정하게 썼는데, 품격은 그리 높다 할 수 없으며 자가풍의 석봉체(石峰體)이다. 비음은 송설체의 것으로 역시 뛰어난 것은 아니나, 비의 전체가 마멸이 심하여 서체상의 특징이나 그 평가를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참고문헌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하(下)
『한국금석총목(韓國金石總目)』(장충식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84)
집필자
선주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