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안동(安東)이다.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권전(權專)의 딸이다.
1431년(세종 13) 세자궁에 선임되어 승휘(承徽)에 올랐다. 1433년경 양원(良媛)에 진봉되었다. 1437년 종부시소윤 봉려(奉礪)의 딸 순빈(純嬪)이 부덕하여 폐빈된 뒤 세자빈이 되었다.
성품이 단아하고 효행이 있어 세종과 소헌왕후(昭憲王后)의 총애를 받았다. 1441년 원손(元孫 : 뒤의 단종)을 출생하고 3일 뒤에 죽었다. 같은 해 현덕(顯德)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경기도 안산시 치지고읍산(治之古邑山)에 예장되었다. 1450년(문종 즉위년) 현덕왕후에 추숭되었다.
혼전호(魂殿號)는 경희전(景禧殿)이다. 능호는 소릉(昭陵)이라고 명명되었다. 1452년(단종 즉위년) 문종과 합장되면서 현릉(顯陵)으로 개호되었다. 1454년 인효순혜(仁孝順惠)의 존호가 추상되었다. 같은 해 문종의 신주와 함께 종묘에 봉안되었다.
1457년(세조 3) 현덕왕후의 어머니 아지(阿只)와 동생 자신(自愼)이 1456년에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사형당하고, 아버지 전이 추폐(追廢)되어 서민이 되었다. 그리고 아들 노산군(魯山君)이 종사에 죄를 지어 군(君)으로 강봉(降封)되었다.
이에 “그 어미 된 자가 왕후의 명호를 유지함은 마땅하지 않으니 추폐하여 서인으로 삼고 개장해야 한다.”는 의정부의 계(啓)에 따라 폐위되었다. 이와 함께 종묘에서 신주가 철거되고, 평민의 예로 개장되었다. 1471년(성종 2) 남효온(南孝溫)이 추복(追復)을 건의하였다.
1495년(연산군 1)에는 대사간 김극뉴(金克忸), 사간 이의무(李宜茂), 헌납 김일손(金馹孫) 등이 현덕왕후의 추복을 헌의(獻議)하였다. 1512년(중종 7)에도 주강(晝講) 석상에서 경연검토관 소세양(蘇世讓)이 추복을 건의했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 이듬해 종묘에 벼락이 치자 그것을 계기로 재차 논의되면서 전교(傳敎)로 추복되었다.
그리하여 현릉 동쪽에 이장되었다. 신주는 종묘 문종실(文宗室)에 봉안되었다. 친가(親家)도 1699년(숙종 25) 단종의 부묘(祔廟)와 함께 신원되었다. 소생으로는 단종과 영양위(寧陽尉) 정종(鄭宗)에게 시집 간 경혜공주(敬惠公主)가 있다. 시호는 인효순혜현덕왕후(仁孝順惠顯德王后)이다. 능호는 현릉(顯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