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등사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가평 현등사 삼층석탑 좌측면
가평 현등사 삼층석탑 좌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에 있는 고려후기 석조 불탑.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에 있는 고려후기 석조 불탑.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1974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높이 3.7m. 원래는 5층석탑이었는데, 현재 2층의 몸돌과 지붕돌은 없어진 상태이다. 너럭바위를 바닥돌로 삼고 그 위에 4각의 아래받침돌과 낮은 윗받침돌의 중석을 두고 두꺼운 윗받침돌의 덮개돌을 놓아 받침돌을 이루고 있다.

아무런 새김이 없는 4각 몸돌 위에는 1층 지붕돌이 놓였는데, 윗받침돌의 덮개돌보다는 넓은 편이다. 하지만 2층 이상의 몸돌과 지붕돌은 크기가 점차 작아졌고, 각각의 지붕돌은 네 귀가 들리고 반전이 큰 편이어서, 고려 말기의 양식임을 알 수 있다.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을 모신 3층석탑이라고 전하지만, 언제 세워졌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사적기에 의하면, 현등사는 신라 법흥왕 때 인도의 승려 마라하미(摩羅訶彌)가 불법을 전하고자 건너와 왕명으로 운악산에 큰 절을 지은 것이 처음으로 건립한 것이며, 그 뒤 폐허가 되었다가 고려 희종 때에 보조국사가 발견하고서 고쳐 지으면서 현등사라고 불렀다고 전한다. 지금의 건물은 1830년(순조 30)에 암구대사(巖龜大師)가 다시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문화재안내문안집』인천직할시·경기도 편(문화재관리국, 1986)
「조선 초기 가평 현등사 삼층석탑에 관한 연구」(이순영,『아시아문화연구』18, 경원대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