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령장전투 ()

목차
국방
사건
1950년 7월 한국전쟁기 국군 제17연대와 국군 제1사단이 상주 북부의 교통중심지인 화령장에서 남하하는 북한군 제15사단을 격퇴한 전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50년 7월 한국전쟁기 국군 제17연대와 국군 제1사단이 상주 북부의 교통중심지인 화령장에서 남하하는 북한군 제15사단을 격퇴한 전투.
내용

화령장은 경상북도 상주군 화서면에 위치한 작은 마을로 보은과 괴산에서 상주로 연결되는 교통의 중심지이다. 북한군 제2군단은 음성∼괴산 방면으로 남하한 제15사단을 상주 점령을 위해 화령장에 투입하였다. 북한군 제15사단은 7월 10일 음성을 점령한 후 보은 및 괴산∼상주 방면으로 남하하였다.

육군본부에서는 국군 제6사단이 담당하고 있는 문경지역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작전명령을 제1군단에 하달하여 제17연대를 제2군단에 이동시켰다. 이 명령에 따라 국군 제17연대는 제1군단에서 제2군단으로 배속이 변경됨과 아울러 17일 함창으로 출발하였다. 이동 중 북한군의 이동상황을 확인한 제17연대 제1대대장은 부대를 화령초등학교에 집결시키고, 지역상황을 연대장에게 보고하였다. 이때 이동하던 북한군은 제15사단 제48연대였다. 이 부대는 도보부대와 더불어 40여 대의 우마차에 각종 포와 탄약을 실고 남하하여 상곡리 일대에 주둔하였다. 이에 따라 국군 제17연대는 북한군을 공격하였다. 17∼18일 양일간에 치열하게 전개된 전투에서 국군 제1대대는 북한군 250여 명을 사살하고 30여 명을 생포하였다.

한편 7월 19일 제17연대장은 북한군 제45연대가 후속하여 화령장으로 접근하는 것을 포로의 노획문서를 통해 알았다. 이에 제17연대장은 화령초등학교에 대기 중이던 제2대대를 봉황산에 진출시켜 매복공격을 감행하기로 하였다. 제2대대 병력은 화령장에서 봉황산을 넘어 동관리로 진출하고 예비인 제3대대는 제2대대 좌측인 장자동으로 이동하였다. 7월 20일 오전부터 시작된 공격은 오후 2시까지 치열하게 전개되어 제2대대는 북한군 350여 명을 사살하고 26명을 생포하였다.

북한군 제15사단은 예하인 제45연대가 동관리 일대에서 기습을 받고 큰 타격을 입자, 동관리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하였다. 이에 따라 국군 제17연대장은 북한군이 전면공세를 취할 경우 이를 막아내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고 군단사령부에 지원을 요청하였다. 군단에서는 제1사단을 화령장에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7월 22일 오전 화령장으로 이동한 제1사단은 예하 11, 12, 13연대 3개 연대를 화령장 부근에 전개한 후 갈령 고개 북방으로 북한군을 격퇴하기로 하였다. 7월 23일과 24일 제11연대는 갈령 부근에서 북한군을 공격했고, 23∼25일 제12연대는 장자동 부근에서 북한군과 격전을 치러 결국 북한군을 격퇴하였다.

국군 제1사단과 제17연대가 화령장 부근에서 북한군 제15사단과 교전을 벌이고 있던 7월 24일 제1군단에서는 작전지역을 미군에 인계하고 안동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내림으로써 화령장 전투는 끝났다.

평가

화령장전투에서 북한군 제15사단은 2개 연대가 괴멸되는 참패를 당했으며, 병력과 장비의 대부분을 상실하였다. 또한 이 전투는 소백산맥의 험준한 지형을 뚫고 상주를 점령한 후 일거에 대구로 진출하려는 북한군 전선사령부의 계획을 좌절시킨 의미 있는 전투이다.

참고문헌

『6·25전쟁사 4 -금강∼소백산맥선 지연작전』(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8)
『한국전쟁전투사 -전천∼화령장전투』(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91)
집필자
이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