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산집 ()

목차
관련 정보
효산집
효산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변영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변영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9권 5책. 목활자본. 1909년 아들 기석(淇錫)이 수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순(宋秉珣)의 서문이, 권말에 아들 황석(璜錫)의 후지(後識)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5에 시 746수, 권6에 소(疏) 1편, 서(書) 31편, 권7에 서(書) 21편, 잡저 4편, 서(序) 5편, 권8에 기(記) 14편, 발(跋) 4편, 상량문 1편, 권9에 제문·고유문 16편, 행장·행록 8편, 유사 1편, 부록으로 행록·행장·묘지명·기·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경차팔송정선생(敬次八松鄭先生)」 26영(詠)을 비롯하여, 「숙명륜당희제양자(宿明倫堂戱題陽字)」 12수, 「경차퇴계선생중구운(敬次退溪先生重九韻)」 등이 대표작이라 할 만하다. 소인 「청팔대조첨정공증작소(請八代祖僉正公贈爵疏)」는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운 변청(卞淸)에게 증직을 요청하는 내용이다.

서(書)는 송병선(宋秉璿)·최익현(崔益鉉)과 주고받은 글이 많다. 그 가운데 최익현에게 보낸 「여면암최판서(與勉菴崔判書)」에는 전통적인 사도(士道)를 지켜 어려운 세태에 대처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담겨 있으며, 「여곽명원(與郭鳴遠)」에는 심성이기(心性理氣)에 관한 내용이 있다.

잡저 가운데는 「안분설(安分說)」·「번리설(藩籬說)」·「자위설(自慰說)」·「문설(文說)」 등이 주목할만한 글이다. 그밖에 기에는 「영이정기(詠而亭記)」·「우송기(友松記)」·「오도산기(吾道山記)」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신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