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지 ()

인문지리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신익전이 경상도 밀양부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652년에 간행한 사찬 읍지.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신익전이 경상도 밀양부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652년에 간행한 사찬 읍지.
개설

1652년 밀양부사로 부임한 신익전의 문집인『동강선생유집(東江先生遺集)』에 수록되어 있다. 밀양부의 건치연혁 및 자연·인문지리적 내용을 기록한 읍지이다.

편찬/발간 경위

신익전은『밀양지』말미에서 병란을 치른 후 자성을 위해 지(志)를 짓는다고 밝히고 있다. 발문인 “숭정기원사십오년임자(崇禎紀元四十五年壬子)… 신정(申晸)”에 따르면,『밀양지』가 수록되어 있는『동강선생유집』은 신익전이 죽은 후 아들 신정(申晸)이 여러 차례의 병화로 흩어진 유문을 모아 1672년(현종 13)에 7권으로 간행했다. 그 뒤 다시 수집된 유문을 보충하여 19권으로 개편·간행했다.

서지적 사항

활자본이며 한구자(韓構字)로 되어 있다. 크기는 20.8×12.6㎝이다.

『동강선생유집』19권 3책 중에 권16 별록(別錄)으로 수록되어 있다. 원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6844-v.1-3, 奎 6861-v.1-3〉, 국립중앙도서관 〈古2758-9〉, 연세대학교 도서관〈고서(I) 811.99신익전동-인-1〉에 소장되어 있다. 각 책의 표제는『동강선생유집』, 내제는 ‘밀양지(密陽志)’로 동일하다. 영인본은 『한국문집총간』105(민족문화추진회, 1993)로 발간되었다.

내용

『동강선생유집』은 19권 3책으로 권1∼9는 시(詩), 권10∼15는 문(文), 권16은 『밀양지』인 별록, 권17∼19는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말에는 신정의 발문(跋文)이 있다. 별록인『밀양지』는 다른 읍지처럼 별도의 항목을 나누지 않고 연이어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일반 지리지의 편목(編目)에 준할 때 대체적인 수록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치연혁(建置沿革), 사방경계(四方境界), 산천(山川), 성곽(城郭)과 읍성(邑城), 객사(客舍)와 별관(別館), 누정(樓亭: 嶺南樓)이 먼저 수록되어 있으며, 주요 건물로 관청(官廳)·군기청(軍器廳)·장군청(將軍廳, 將校 내역)·의국(毉局, 有司 내역)·향사당(鄕射堂, 鄕官 내역)·작청(作廳, 吏胥 내역)·교방(敎坊, 妓女 내역)·부사(府司, 戶長 내역)·공수(公需)·빙고(氷庫)·부옥(府獄) 등이 열거되어 있다. 방리(坊里)·학교(學校)에서는 향교(鄕校)·단묘(壇廟: 社稷壇)·역원(驛院)·불우(佛宇)·성씨(姓氏)·토산(土産)·고적(古蹟)·요속(謠俗)·인물(人物) 등이 기록되어 있다. 모든 부사들의 업적과 효자(孝子)·열녀(烈女)·명환(名宦)의 항목을 더 강화하였다.

의의와 평가

『밀양지』는 밀양부의 연혁과 지리적 환경, 속현(屬縣)과 읍(邑), 사우(祠宇)와 주요 건물, 명승지, 인물뿐만 아니라 다른 읍지와 구별되는 세수(稅收)와 지출상황, 관아의 인원, 노비, 특산물과 공부(貢賦)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읍지의 편찬은 병자호란 이후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기존의 읍지에 비해 관아의 조직과 인원 현황 및 대동법(大同法)의 시행 사항, 주변 읍리의 현황이 기록되어 있어 밀양 지역의 구체적 사회․경제구조와 당시 지방통치 상황을 파악하는 데 참고자료로 주목된다. 또한, 그 내용이 상세하여 조선시대 후기 밀양이라는 지방 향촌사회의 실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문집총간』105(민족문화추진회, 1993)
『밀양지』(밀양지편찬윈원회 편, 밀양문화원, 1987)
『동강선생유집 해제』(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조선 중기『밀양지』의 편찬과 효자, 열부」(박주,『조선사연구』17, 2008)
「조선시대 읍지의 체재와 특징」(양보경,『강남대 인문과학논집』4, 199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