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연석회의 ()

남북연석회의
남북연석회의
정치
사건
1948년 4월 남북의 정치지도자들이 통일정부 수립을 목표로 평양에서 개최한 정치회담.
이칭
이칭
남북조선제정당사회단체대표자연석회의, 전조선제정당사회단체대표자연석회의, 남북협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남북연석회의는 1948년 4월 남북의 정치지도자들이 통일정부 수립을 목표로 평양에서 개최한 정치회담이다. 해방 후 미국·소련, 남·북, 좌·우의 대립으로 통일정부 수립의 꿈이 좌절되어가자 중도파 정치인들이 남북지도자 회담을 통한 문제 해결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김구·김규식 등 남측 인사가 남북요인회담을 김일성과 김두봉에게 제안하자 북측에서 남북 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를 역제안하여 남북연석회의가 열리게 되었다. 연석회의에서 총선거를 통한 통일정부 수립을 합의하고 이후 단선단정 반대운동이 전개되었지만 실질적 변화는 이끌어내지 못했다.

정의
1948년 4월 남북의 정치지도자들이 통일정부 수립을 목표로 평양에서 개최한 정치회담.
역사적 배경

1945년 8월 해방 이후 한반도는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다. 동년 12월 연합국을 대표한 미국, 영국 그리고 소련의 외무상들이 모스크바에 모여 한반도의 통일정부 수립 문제를 논의하였다( 모스크바 3상회의). 이 회의의 결정에 따라 1946년 한반도에 미소공동위원회가 설치되었고, 미국과 소련의 대표들과 남북의 정치 · 사회단체 대표들은 이 위원회에서 통일정부 수립 방안을 논의하게 되었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은 참가단체의 자격 문제를 둘러싸고 끊임없이 대립하였고, 국내의 단체들 간에도 정치적 이견을 좁히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은 1947년 9월 한반도 문제의 유엔 상정을 주장하고, 소련은 미 · 소 양국 군대의 철수를 내세우면서 결국 2년간 논쟁을 벌이던 미소공동위원회는 결렬되었다.

미국, 소련 그리고 남 · 북, 좌 · 우의 대립으로 인해 통일정부 수립의 꿈이 좌절되어 가던 이즈음, 중도파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남북지도자 회담( 남북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1948년 1월 우파와 중도파의 대표적 정치인이었던 김구김규식이 미 · 소 양군 철수, 남북요인회담과 총선을 통한 통일정부 수립이라는 대원칙에 합의하면서 남북협상은 빠르게 진전되었고, 2월 16일에는 두 사람의 서한이 북한 측의 정치지도자 김일성, 김두봉에게 발송되었다.

즉각적인 답변을 하지 않던 북한 측은 3월 25일에 이르러 공식적인 답변을 내놓았지만, 그것은 남북요인회담이 아니라, 남북 정당 · 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를 역제의한 것이었다. 북한 측에서는 정치지도자간의 회담이 아닌 범위가 훨씬 넓은 정치단체 대표자들의 연석회의를 주장하고 나온 것이었다.

회담의 성격이 변화되었음에도 남한 측의 중도파, 민족주의 단체들은 적극 찬성의사를 밝혔고, 김구, 김규식이 이를 수락함으로써 역사적인 남북연석회의가 시작되었다.

경과

1948년 4월 19일 평양 모란봉 극장에서 오전에는 남북연석회의 예비회담이, 오후에는 본회의가 개막되었다. 김구 일행을 기다리면서 20일을 휴회한 회의는 21일 속개하여 23일까지 개최되었다.

회의에는 남북의 56개 정당 · 사회단체(남측 41개, 북측 15개) 대표 695명이 참석하였다. 남한 측에서는 좌파 인사들 뿐 아니라, 조소앙을 비롯한 임시정부 관계자들과 홍명희 같은 민족주의자들도 대거 참석하였다.

그런데 19일 평양에 도착한 김구는 22일에서야 회의에 참석해 인사말만 하고 퇴장해 버렸고, 김규식은 아예 회의에 참석조차 하지 않았다. 이들은 남북요인회담의 개최를 계속 주장하였고, 마침내 이들 두 사람과 김일성, 김두봉이 참석한 ‘4김회담’이 개최되었다. 공식 일정에 없던 회의가 김구, 김규식의 요청에 의해 새로 만들어진 것이다.

4김회담은 남북지도자협의회 개최 전인 26일과 30일에 각각 진행되었다. 더불어 남북의 주요 단체 대표들 간에는 조선제정당 · 사회단체지도자협의회(남북지도자협의회)가 27일과 30일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회담 기간 동안에는 이 외에도 다양한 행사와 회의, 요담 등이 진행되었다.

엄밀한 의미에서 남북연석회의는 19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된 본회의를 지칭한다고 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회의의 성격 등을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19일부터 30일 기간에 진행된 본회의, 4김회담, 남북지도자협의회 등을 통틀어 남북연석회의, 또는 남북협상이라 부른다.

결과

4월 23일 폐막된 남북조선제정당사회단체대표자연석회의에서는 ‘조선 정치정세에 대한 결정서’와 격문 ‘전조선 동포에게 격함’, 그리고 ‘미소 양국정부에 보내는 전조선 정당사회단체 연석회의 요청서’가 채택되었다. 이들 문서는 남한 측의 단독선거와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한다는 내용과 그것을 위한 투쟁을 결의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미 · 소 양국에는 군대의 동시 철수를 요구하였다.

그런데 정작 남북협상의 주요 결정은 4김회담과 남북지도자협의회를 통해 이루어졌다. 4김회담의 합의와 추인을 거쳐 남북지도자협의회에서 4월 30일 채택한 ‘남북조선 제정당 · 사회단체 공동성명서’에는 ① 외국 군대 즉시 동시 철거, ② 외국군 철수 후에도 내전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 ③ 총선에 의한 통일정부 수립, ④ 단선단정 반대와 불인정이라는 4가지 원칙이 담겨져 있다. 이 성명서에 따라 이후 남북에서는 단선단정 반대 운동이 전개되었지만,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지는 못하였다.

의의와 평가

총선거를 통한 통일정부 수립이라는 남북연석회의의 합의는 실현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이 회의는 분단의 길목에서 남북의 정치인들이 이념적 대립에서 벗어나 통일정부 수립 방안을 논의하고 합의를 이루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이 회의가 2000년 남북정상회담의 귀감이 되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북한 민족주의운동 연구』(이신철, 역사비평사, 2008)
『남·북협상 김규식의 길, 김구의 길 – 우사 김규식의 생애와 사상』2(서중석, 한울, 2000)
『한국민족주의와 남북관계—이승만・김구시대의 정치사』(도진순,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력사적인 4월 남북련석회의』(정리근,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