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모 ()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목화』 · 『고엽』 등을 저술한 시인.
이칭
이칭
승모(承模)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3년
사망 연도
1987년 1월 10일
출생지
경북 경산시 옥산리
정의
해방 이후 『목화』 · 『고엽』 등을 저술한 시인.
개설

1923년 경북 경산 출생. 1950년대에 『문예』와 『현대문학』지에 추천을 받아 등단하였으며, 시집으로 『목화(木花)』, 『고엽(枯葉)』 등이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정석모는 1923년 경북 경산시 옥산리에서 출생했다. 유년기에 경산을 떠나 만주, 중국 등지로 방랑하였으며, 일본의 중앙대학 전문부에서 수학했다고 한다. 해방 후 귀국하여 1950년 『문예』지에 시 「목화」와 「능금 두벌꽃」으로 1회 추천을 받았고, 1958년 『현대문학』지에 「춘일한(春日閑)」, 「극락전(極樂殿)」으로 추천을 완료하여 등단하였다. 『자유신문』 신인문예에 당선되기도 하였다.

일반회사의 사무원, 신문기자, 월간 『문화춘추』의 주간 등을 지내면서 작품을 발표했다. 시집으로 『목화(木花)』(삼성인쇄, 1970), 『고엽(枯葉)』(우현, 1984) 등을 간행했고, 수필집 『어느 여류시인의 수기』(영화출판사, 1959)를 펴냈다. 1987년 1월 10일 타계했다.

상훈과 추모

1964년 경북문화상을 수상했다.

1988년 5월 15일 칠곡 청구공원묘지에 한국문협 대구지부 회원들이 시비를 세웠다. 이 시비에는 「능금 두벌꽃」이 새겨져 있다.

참고문헌

『고엽(枯葉』(정석모, 우현, 1984)
『목화(木花)』(정석모, 삼성인쇄, 1970)
집필자
이태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