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부인회 ()

정치
단체
1949년 2월 24일 서울시청에서 결성된 반관반민 통합 우익여성단체.
정의
1949년 2월 24일 서울시청에서 결성된 반관반민 통합 우익여성단체.
설립목적

대한부인회는 반공강화와 국가보강의 관민합작 국민운동을 배경으로 국가봉사, 국민문화 향상, 여성지위 향상을 목표로 결성되었다.

연원 및 변천

대한부인회는 1949년 2월 24일 서울시청에서 미군정기 독립촉성애국부인회의 후신인 대한애국부인회와 서울시부인회의 통합으로 결성되었다. 당시 독립촉성애국부인회를 근간으로, 부녀국과 시도차원의 행정관서 주관으로 조직되었다. 1949년 5월 2일 개최된 제1회 전국대회에서는 초대회장에 박순천(朴順天, 독립촉성애국부인회 부회장), 부회장에 박승호(朴承浩, 독립촉성애국부인회장 겸 부녀국장), 유각경(兪珏卿, 서울YWCA회장)이 선출되었다. 그리고 명예총재는 이승만의 부인 프란체스카였다.

결성 초기의 조직기구는 본부 구성에 총무부, 재정부, 조직부, 사업부, 외교부 5개 부서였으나 1958년에는 9개 부서로 확대되었다. 1949년 2월∼4월까지 전개된 지부건설 과정에서 지부기구는 본부기구를 따랐으며, 시의 검찰청장, 시장, 경찰국장, 경찰서장, 여자경찰서장을 고문으로 두었다. 이 단체는 매월 1회, 40여 명의 이사로 구성된 이사회 회의와 부장회의를 개최하였으며 감사를 두었다. 본부 및 지부의 임원은 부녀국장, 부녀과장, 여성단체 회장이 겸임하였다. 대한부인회 회원은 대한민국 성인여성(16∼60세) 모두가 회원으로서, 회원가입과 회비납부는 의무였다. 재정은 정부의 지원으로 충당하였기 때문에 정부는 사회단체 유지비 명목으로 일정액을 가구당 부과하여 세금을 거두었고, 그것을 대한부인회에 지원하였다.

1952년 10월 18일 부산에서 개최된 전국대회에서 제2대 회장에 박순천이 재임되었다. 1953년 10월 13일 전국이사회에서 종래 회장제도를 폐지하고 최고위원제를 채택하면서, 최고위원으로 박순천, 유각경, 박현숙(朴賢淑), 이예행(李禮行), 황애덕(黃愛德)이 선출되었다. 1953년 11월대한부인회 전국대회에서 박순천은 이승만이 지시한 대한부인회의 자유당 입당을 거부하였다. 하지만 박현숙, 유각경 등은 자유당 중앙위원으로 임명되었고, 자유당 입당을 반대한 박순천 중심의 대한부인회는 이승만과 갈등하기 시작하면서 이승만은 다양한 방법으로 압력을 행사하였다. 이후 이기붕의 부인 박마리아가 이승만의 지원을 받아 대한부인회 활동을 재개하였고, 1953년박순천은 대한부인회를 사퇴하였다.

5․16 군사쿠데타로 건설된 국가재건최고회의가 1961년 5월 22일 ‘국가재건회의 포고 제6호’를 발표하자 모든 정당 및 사회단체 해산이 이루어졌다. 이때 대한부인회는 해체되었고, 1963년 10월대한부인회는 대한여자청년단과 통합하여 한국부인회로 재건되었다.

기능과 역할

대한부인회는 제1공화국의 반공강화와 국가보강을 위한 국민운동 전개를 배경으로 결성되었다. 이승만정권의 관여와 지원 하에서 출범한 반관반민 우익여성단체로 대한부인회의 활동은 첫째, 주한미군 철수․ 내각책임제 개헌안 반대운동, 둘째, 미신타파, 문맹퇴치, 구정과세(舊正過歲) 철폐의 생활개선운동, 셋째, 축첩제도 폐지운동, 구호사업운동의 신생활개선운동 등이었다. 이러한 활동은 이승만정권의 국민 통합, 권력 장악 및 정권 강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특히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대한부인회의 활동은 출정 장병환송, 육군병원 전상자 위문, 장병군복 세탁, 군경미망인 생계보조, 군경이재민의 직장알선과 신상상담 등 전재민 구호사업에 치중되었다.

의의와 평가

대한부인회는 이승만정권의 반공강화와 국가보강의 관민합작 국민운동을 배경으로 결성된 우익여성단체로 이승만정권의 이해관계에 따라 활동이 제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단체는 축첩반대운동, 간통쌍벌죄 입법화 및 친족상속법 개정 시도 등의 활동을 통하여 이익단체로서의 역할을 보여주기도 하였고, 이승만의 자유당 입당 지시를 거부하여 여성사회단체로서의 자율성을 유지하려고도 노력하였다. 그러나 반관반민이라는 한계는 정치권력의 예속을 낳았고 이후 한국사회 여성단체 활동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참고문헌

『한국 여성운동 약사(1945∼1963)』(한국부인회총본부, 한밤의소리사, 1986)
「대한부인회 결성과 활동 연구(1948∼50)」(양동숙, 『한국학논총』34, 2010)
「초기 대한부인회(1949∼54)의 정치적 자율성」(송지윤,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여성정책 연구」(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